참고자료

[스크랩] 동씨침법(1)

화정천 2014. 1. 27. 20:24

#과민성 처방(사화상중하, 상하삼황, 영골, 곡지, 혈해)


예 4] 피부병, 온몸에 물집, 25년간 양약 복용, 온몸 붉고 피부 얇다. 멍 잘 든다.
     어혈방 →과민성 피부방 →해독침(분지상하, 골관목관, 수해, 족해, 상영하영(上營下營)
      : 30분 유침 4회 후 → 과민성 피부방 (70%치료)
       : 주두부(肘頭部) 가려워서 2배 붓는다.→ 해독침 2회 (肘:팔꿈치 주)


예 5] 등창(위가 나빠서 온다)
   → 제오 : 쥐똥 약간 볶아서 갈아 밀가루 반죽하여 등창 부위에 붙여라.

 

10) 무좀
(1) 견봉 이백 족사마 수족 木穴


(2) 복원 지사마 『자략』p138
※ 무좀약 → 살리신산 + 유황
     체로 쳐서 부드럽게 만들어 1 : 1로 자꾸 저어 골고루 섞은 후 돼지기름을 녹여
     맑은 물만 받아서 조금씩 부으면서 피부에 붙어 있을 정도로 섞는다.
    → 무좀 및 모든 피부병에 응용할 수 있다.★
   : 거의 모든 가려움은 2시간 내에 소실되고 무좀의 경우는 껍질이 솔~ 벗겨지면서 새 살이 나타난다.


예 1] 40세 남 무좀, 인설 → 복원 지사마


예 2] 발꿈치 살이 트실트실하여 스타킹 다 구멍 내고 두껍게 갈라지고 하는데 살리실산과
        유황을 3-4회 바르니깐 계란 속살처럼 되더라

 

4. 기타
1) 백전풍 → 구전풍(灸殿風)★(3지 손바닥 3절 횡문 중앙)  (灸:뜸 구) (殿 : 큰 집 전)
2) 흑반(黑斑) → 통관 통령 상삼황 사마
3) 티눈 사마귀에 대추육을 덮어 씌우면 된다~!
5) 화상 욕창 수술 후 상처가 잘 아물지 않고 쓰리고 아플 때~! → 제오


6) 욕창 민간요법
   (1) 바가지를 짚불에 태워 참기름 발라 가루를 붙인다.
    (2) 쥐똥을 약간 볶아 갈아서 밀가루 반죽을 해서 붙이면 아주 심한 경우에도 2-3회로
          낫고 새살이 돋는다.


(3) 병이 치우친 쪽 제오 방혈!

예 1] 40세 여자. 얼굴 점 뺀 후 헐어서 1개월이 되도록 아물지 않는다.
      → 兩 제오 방혈 후 훈침 나길래 소부 자침
       → 다음 날 아물기 시작: 몸이 약한 사람이라 영골 대백 자침하고 제오 방혈~!


예 2] 난로 위 뜨거운 주전자 물에 데었는데 제오 방혈 후 쓰리고 따가운 것 없어짐


예 3] 봉와직염으로 군화도 못 신을 정도 → 분지 上下 (독소로 보고...)
           계란 노른자 2개 + 밀가루 1홉을 반죽하여 환부에 붙이면 좋다.


예 4] 백납 콩알보다 좀 큰 것이 50개
    → 左 측 목혈(-) : 2분뒤 싹 없어짐. 유침 20분 발침 후 조금 있으니까 70% 다시
         올라오더라. 3일후에 싹 없어짐. 고삼 호마삼用
          삶은 계란 노른자의 기름을 짜내어 바르면 백랍(白蠟)에 특효~~!(蠟:밀 랍(벌똥))

 

17> 근(筋)

1. 근육의 불리(不利)
1) 환측 척택★★
          : 전신의 근이 꽉 맞물려서 말을 안들을 때 방혈, 염전~! (척택 옆의 근에 딱 붙여서 자입)
        → 오십견이나 서경증(손이 떨려 글을 못씀)에서 끝 마무리가 안 될 때 응용!!!


2) 간경 上으로 근이 댕길 때 → 三宗~! (상대성)

 

2. 쥐날 때
1) 화포 아래위로 방혈(환측)
2) 담정격
3) 승산(-) : 다리/ 곡지(-) : 팔
4) 환측 3 趾下 지압
5) 차백 : 쥐가 난 후 계속 아플 때
6) 용천
7) 수추근(手抽筋) (쥐가 나는 것, 땡기는 것) → 화릉 화산
        각추근(脚抽筋) → 정근 차백 / 정근 박구
예] 발만 뒤로 제껴도 종아리까지 땡기고 쥐가 난다는 사람에게 화포 방혈했더니 괜찮더라.
       그런데 이틀 후 산에 갔다 왔더니 쥐가 나는 건 아닌데 다리에 약간 이상한 감이
      있다길래, 한번 더 방혈하니 다 좋아짐~!

         #화포:족장 2지2절중앙)

 

18> 골(骨)

1. 골질환 개괄
1) 골자(削骨,消骨)침 : 환측 취혈 원칙! (削 : 삭) (消 : 소)
       골자 다발 부위 - 목 / 허리/ 무릎/ 족근 [양유걸]
(1) 인중 후계 속골 풍시 / 혹은 인중 후계 속골 부류
    이 때 오후에 자침(深刺)하면 더욱 좋다. 체중 경감도 가능
       以骨治骨 : 뼈(골막)에 닿을 정도로 깊게 자입
    특히 풍시 (원인이 복잡한 동통, 원인 불명 동통)는 반드시 심자!


(2) 환측 조구 : 조구하 2寸 (조구 이하 5촌 까지는 주치증이 條口와 같다)
       : 모든 골자 부위에 다 쓴다. 퇴행성 관절염에도 쓴다.
       경골 바로 옆으로 자침하여 2지장 관절부 부은 것 치료!


(3) 골자 → 영골 대백 + 상삼황 ( 혹 명활 上下 5寸) / 혹 加 통관 통산. 환부 점자 방혈
        영골 대백 + 정척 123
上골자 : 정척123
    下골자 : 명황 上下5寸(혹은 상삼황
)『

② ★ 목디스크 (경추 골자) →정척 폐심 삼하(三河) + 병위(病位) 방혈
         『경험』 : 골관 목관 配 정척 123 은 척추골 不正과 산통(酸痛)을 치료하는데,
           실제로 임상한 결과 착오가 없었으며 요통에도 좋다.


(4) 대측 중백 상삼황, 환부 점자(점자는 안 해도 무방)
(5) 퇴행성 관절염 → 신관 완순12 사마상 명황(환부 점자 방혈 후 자침)
(6) 무릎 아픈데 견중 내관(2~3회 정도)으로 효과가 없다면 퇴행성이다. 이때 골자침 응용!


(7) 견중 통천 통관 건중 신관 → 治 전신관절염 요산성관절염 유주성 풍습병
(8) 장골자(長骨刺) [양유걸p169] : 척추 압통에도 쓴다.
① 위중 점자 방혈 + 명황
② 구리 완순1
③ 사화중 사화부 : 뼈에 붙여 놓는다


(9) 삼하(三河) 환순 → 척추 골자(자궁통 하복통 담통

 

2) 뼈 아플 때
(1) 오호 복원 소골 → 관절후 통증 디스크 등 무조건 뼈 병에 쓴다. 허리 굽은 노인
         강직성 척추염
(2) 환측 인중ㆍ후계ㆍ속골ㆍ풍시
(3) 환측 조구ㆍ조구下 2寸
※ 소골『경험록』p100
→ 治 뼈로 인해 생긴 병: 경골 외연에 칙자, 침감 强, 앙와위로 시술


(4) 요척추골통 → 마쾌수 / 폐심
(5) 전신 골종, 약물성 골종 → 영골 대백 오호 복원

3) 골 질환 → 통골(通骨)12 (45°각도로 마주보게 자침)/ + 상삼황 → 척추염★
      골질환에 手 5지 배혈하면 유효~!

     #통골:수장 5지 1-2사이 뼈 A라인과 C 라인

 

4) 각종 골 질환에 → 복원
(1) 복원 + 오호 상삼황 → 治 전신골종
(2) + 오호 토수 → 治 골종
(3) + 골관 목관 → 治 족근통
(4) + 정척 123 → 治 척추 골통

 

5) 관절에 콩알 같은 것이 생겨 아프다 → 소골

 

6) 무혈성 괴사
(1) 견응(手) 가장 높은 곳 : 외관을 향해서 자침. 염전하지 말라. 1.8寸
           건측 (살을 집어 올려서 자침)
(2) 내과첨 외과첨 곤륜 : 환측 염전하지 말고 환자만 움직인다.
      내측 통증시 - 내과첨 자침 (제일 높은 곳에서 上斜刺 2寸)
      외측 통증시 - 외과첨 자침
     뒷면으로 아플 때 - 곤륜 자침
⇒ 5분 이내로 통증 × 유침 30분. 수술 안해도 되더라.


(3) 환측 요퇴혈(위중 上 2寸 上斜刺 8寸)
(4) 괴사까지 왔을 때 → 신정격 + 복원 : 잘 때 뼈가 생기는 느낌이 들더라.
(5) 무혈성 괴사에 6개월 전 수술 했는데 계속 아프다 → 소골침!

7) 척추섬통(脊椎閃痛) → 정근 승산 / 위중 점자 방혈 / 七里 九里
8) 뉴상(杻傷) : 관절과로 주위 조직 기육 관절낭 손상 → 간경(肝經) 제 5선 인근 취혈
        발병 당시 즉시 점자 방혈. 활동을 하지 말라 2~3회면 회복 (杻: 잡다 뉴)


9) 발 길이가 다를 때
(1) 복원
(2) 정척
(3) 독맥 틀어진 쪽 방혈
(4) 정근 정종 정사
(5) 이각명

 

10) 척추 기형 → ★명황 기황 동천


11) 척추 압통 → 정근 중절(中節)


12) 자골연대퇴통지외과(蕀骨連大腿痛至外踝) → ★(1) 先상백 (2) 견중

예 1] 여 전신골통 상하비가 특히 아픔
    → 오른쪽 오호 5개 다 자침. 좌측 상하비만 남음 → 측삼리 측하삼리


예 2] 20대 女 운동하다 뒤로 넘어져 척추 전체를 못 움직임 조금도 못 움직임 다 아프다고 함.

          20일 됨 → 右 폐심 그 자리에서 굴신


예 3] 55세 주관절통 견비통 관절 온 전신이 아프다. 심부현맥(沈部玄脈) 간허
     → 간정격 : 전신이 편하다. 다음날 간정격 별로... 3日째 담정격 O.K


예 4] 20세 男 키 180. 삐쩍 마름. T3~7 굉장히 아프다. S자 측만증
         구맥(鉤脈) 人 > 寸 소장실 심허. 남좌여우로 → 대돈 (+) 50% 좋아짐
          평상시 어깨가 아프다고 해서 소장승 水(+) 土(-) → 통곡(+) 80%가

           좋다....훈침
         다음날 T7 부근만 아픔. 구맥(鉤脈) ...다시 대돈(+): 다 나았다.

          척추가 바로 됨.

예 5] 59세 남자. 척추관 협착증, 파행, 허리를 못 편다.
       → 위중 방혈 후 건측 담낭점 : 한 번에 허리를 펴더라~

 

2. 퇴행성 관절염
1) 퇴행성 관절염
(1) 일주일에 1-2회 환측 위중방혈을 생각할 것!
(2) 대측 중백 상삼황. 환부 점자(點刺)는 안해도 무방)
(3) 무릎 붓고 아픈데 → ① 건중 슬영
② 대측 분중 상삼황, 혼측 슬안 후삼리 『장』p106
③ 통신 통위 하삼황
무릎에 열 날 때 → + 이배 방혈 or 무릎 부은 족 경락 따라 수(+) 화(-)


(4) 슬관절 측부 인대 손상
        ① 외측 손상 → 건측 견응 (내관 방향으로 평자 1.8촌) + 환측 내과첨(상사자 2寸)
        ② 내측 손상 → 건측 견응 (내관 방향으로 평자 1.8촌) + 환측 외과첨(상사자 2寸)
         : 염전 안 한다. 자침 후 동기법으로 무릎을 움직임. 1일상(日傷) 일반 신상(新傷)은
           5분내 동통 해결, 유침 30분, 어떤 경우는 10~20초 만에 효과


(5) 3단계 치료법(별로다.....)
         → 대측 3지 제2절 뺑 돌아가며 + 아래 위로 직자


2) 퇴핼성 관절염☆ → 먼저 인중 후계 속골 부류 + 견중 완순 1 2 사회상 명활 신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퇴행성 관절염 → 견중 슬영 화슬 10번 통증 부종 제거


3) 퇴행성 슬관절통 → 소골 中
4) 건초염 → 환측 단무지신근건 위에 하나, 건 옆에 붙어 하나씩 + 아래위로 (총 3×3=9혈)
          또는 兩 오호1(動氣 時에는 손을 옆으로 흔들어라.)
5) 건초낭종 : 완배(脘背) 장측(掌側) 수장원단(手掌遠端) 족배부(足背部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슬관절방측(膝關節旁側)과 슬괵부(膝膕部) 등등 (膕:오금 괵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→ 견중 건중 운백 상곡 영골 사지(四肢) 하삼황(下三皇)


6) 화농성 관절염통(化膿性關節炎痛) : 포도상 구균 폐렴균의 감염 발열 원인과 증상 및
             화농성 골수염 대치상동(大致相同) 지시(只是) 감염부위(感染部位) 재관절처(在關節處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배출농수(排出膿水) 홍종동통(紅腫疼痛) 발소(發燒) 상급(傷及) 관절 연골 골격 연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수상지후(受傷之后) 관절 변형 → 견중 건중 운백 이백 상곡 하곡 영골 삼중


7) 요산성 관절염
(1) 골관 목관
(2) ① 점자방혈 ② 상, 하삼황 ③ 중구리 통관 통산 사마
(3) 골관 목관 + 영골 하백 → 요통 좌골 신경통 골자 요산과도로 인한 골격 근육 동통
8) [김광호샘]★
소부(+) → 퇴행성 관절염 或 삭골침
소부(-) → 류머티스 관절염

 

예 1] 40대 골두관절낭 퇴화ㆍ변형 ㆍ동통(퇴행성)
         → 신관 완순12 사마상 명황 + 관절 동통부 점자 출악혈(出惡血)
         : 동통 소실 후 적당한 운동으로 계속 퇴화되는 것 방지하도록~


2] 할아버지, 3년전 퇴행성 관절염 진단, 왼쪽 무릎이 붓고 안쪽으로 아프다.
       → 대측 내관, 환측 태백 함곡(내관 함곡 견인) : 부기 통증 모두 소실~!


예 3] 67세 여자 퇴행성 골관절염, 양 무릎이 아파서 계단 오르내리기 힘겹다.
       → 아픈 부위 경락의 兪穴 (함곡 태충 태백) + 내관
예 4] 56세 여자, 경추골 관절염(변형성 척추증), 물건을 잡기만 하면 오른손이 저리다.
          → 폐심 삼하 정척123
예 5] 노인성 퇴행성 수지 관절 동통, 관절도 튀어나오고, 자발통도 있고..
          → 복원 오호1 중자 중선


예 6] 퇴행성 관절염, 무릎이 굽혀 앉을 때 마지막에 팍~ 쓰러짐, 일어설 때 힘든다.
        → 환측 조구, 조구하2촌 / 환부방혈 + 대측 상삼황 중백/ 견응 + 내외과첨


예7] 퇴행성 관절염 위중 부위 아프다. 앉고 일어서는데 아프다 → 관충 (+) / (-)

 

3. 류머티스 관절염(RA)

             1) ★ 사지 삼음교 소부 瀉 (心熱을 친다는 의미도 되고 지통도 되고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아픈 것도 없어지고 부기도 빠짐.


2) RA(류마티스)로 손가락 관절 모두 변형되고 아픈데도 (무릎통도 다 포함)
          →사지 삼음교/ 소부(-) 화슬 / 소부 사지 삼음교/ 소부(-) 신관, 사지

 

예 1] 30세 여자. RA 중앙병원에서 1년간 치료했으나 무효. 무릎 붓고 열나고 아파서
           걷지를 못함. 아침이면 얼굴도 붓는다. 기허맥 (氣虛脈))
          → 영골 하삼황 사지 上瀉화슬 슬영(풍습성 관절염★)


예 2] 길병원에서 RA 진단. (수치38)무릎이 아파서 일어서질 못함
→ 소부 화슬 : 벌떡 일어서더라...동시에 수치도 하강하여 퇴원함.


예 3] 34세 여자 10년 전부터 RA, 右슬내측통으로 시리고 짜릿한 통증. 보행 時 약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절고, 계단 오르내릴 때 힘든다.
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견중 건중 통관 통산 신관
예 4] 3년간 RA 치료를 받았으나 팔이 아파서 목 정도 밖에 안 올라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   2년간 물리치료를 했는데도 안 낫는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주먹을 다 쥐질 못하고 주관절이 땡겨서 굽히긴 하는데 펴질 못한다.
       → 사지 (수각통★) + 삼음교 (도마)
             : 아~어지럽다면서 넘어 가길래 급히 침을 때고 눕힌 후 양 소부를 찔렀더니 바로
             깨어나면서 손가락도 안 아프고 주먹도 다 쥘 수 있게 됨.


예 5] RA환자, 손이 뻑뻑하고 부어 있으며 완관절통, 무릎도 아프고 부었다.
         → 견중 건중 통관 통천 신관 : 손목 손가락 무릎 모두 OK~!


예 6] 25세 여자, RA, 양 무릎 손목 붓고, 서 있는 것 앉았다 일어서는 것 괴롭고, 보행
        時 힘든다. →兩 화슬 심슬 하삼황 사지
예 7] 30년 된 RA환자, 3회/일 steroid 복용
          → 견중 건중 통관 통천 신관

 

4. 기타 척추질환
1) 미골통(꼬리뼈 통증)
(1) 꼬리뼈 아플 때
★대도해표 : 꼬리뼈 아픈 데 (중둔근까지 다 풀어줌)
② 곤륜(-) : (방광 열이 있을 때 방광열을 사함)
③ ★심문 (+ 완순1)
④ 폐심 : 男左女右로 취혈하여 즉효!
⑤ 명황 곤륜 화경 영골


(2) ★미골통 임맥상 → 태계
             독맥상 → 위중방혈 兩 곤륜


(3) 꼬리뼈 삔 사람 → 정근 정종 직자 + 곤륜 (-) 폐심


(4) 꼬리뼈가 아프면서 동시에 허리, 목까지 아플 때 →정근ㆍ정종
(5) 천추부위 아플 때 →대측 소장정격
        천골부위가 땡기고 아프다 →좌골
        PSIS 부위 (천골부)로 왔다 갔다 하면서 아프다 → 마쾌수


예] 56세 여자,10년 이상 수영을 했는데 발차기만 하면 천골부가 아프다 → 폐심

 

2) 강직성 척추염
(1) 강직성 척추염
① 환부 방혈 + 정척 123
오호 복원 소골 (척추를 따라 시원, 편안~)
③ 발포요법


예] Stenosis(경직 혹은 경화) 환자
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대측 복원 영골 대백 상백 중백 완순12 (이때 추나는 안 하는 게 더 낫더라~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다음날 오전 중에는 안 아프더니 오후 되니깐 다시 아프길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 정척 123 비익 : 그 다음날 하나도 안 아팠다고 함.
             (소골/신맥ㆍ속골을 더해도 무방하다) 15회 치료로 정상화!

 

3) 기타
(1) 목황 목전 기황 부과 → 추간판 돌출, 脊椎骨長軟骨 압박신경에 유효. 오래 걸림.
           환부 방혈 첨가


(2) 척추관 협착증 →右간정격 左신정격

      예 1] 42세 초등학교 교사, 척추 분리증, 허리를 못 굽히고, 앉았다 일어설 때 아프다 (L4-5) →

              중백 하백 
       예 2] 척추 측만증 (C curve 디스크) 너무 심하다. 척추에 핀을 박는 수술을 권유 받음.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추나 등등 해 봤음.
        → 건측 환도에 장침 : 들어가는 순간에 통증 딱 날라감. 허리를 쫙 펴더라
.

 

19> 상지(上肢)

1. 상비(上臂) (위 팔뚝)
1) 견갑통(날개쭉지뼈 통증)
(1) 견봉통
① 양 견봉 부위 통증 → 양쪽 견봉 견중혈
② 견봉통
      ⅰ) 삼종 삼중 족천금 수곡
      ⅱ) 통신 통위 통배★(특히 밤에 더 아프다는 사람) : 한 방에 날라감
      ⅲ) 중자 중선
     ⅳ) 통관 통산 통천
     ⅴ) 심포 삼초경
       ⅵ) 九里 측하삼리


(2) 견갑강통
① 견갑통 → 사화중(p81) / 부양 / 중자 . 중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갑통 → 소장승격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갑통 → 환측 사화中
               견갑통 경향통 → 심슬 + 편견 (환소) + 인황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갑강 동통, 외전(밖으로)불리 → 지종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갑강 동통, 후굴(뒤로)불리 → 상백 / 신관 / 천황
② 견갑상와 이상의 동통 → 삼종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雨 견갑상와통 → 족천금 수곡 + 후골 難 → + 인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갑강 이상 동통, 목 전후굴難, 팔 내외전難, 속으로 묵직하게 아프다 → 지종 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雨 견갑상부 통증 + 臍痛 → ★ 완순12 (臍屬小腸: 배꼽은 소장에 속한다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갑하근 기시부 야간 통증 → 통신 통위 통배


견갑골 어긋난 데
       → 올라간 쪽 중자 내려간 쪽 목혈 ★ : 처진 쪽 견갑이 올라가더라~


④ 견갑골 안쪽으로 아플 때 → 대측 화슬


견정부 경결, 목 돌릴 때 아프고 후굴 時 더 아프다. → 상백 / 음릉천 / 지종

       예1] 골프를 자주 치는데, 견갑골 하면으로 아프다고 함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화슬을 써도 낫지 않길래 눌러서 더 아프다는 말에 옥화를 썼더니 좋아짐 


        예2] 견갑극 따라 아프고, 무릎이 시큰하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폐정격 : 60% 날아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화슬✰ : 견갑극 아픈 것 다 낫고, 계단 오르내릴 때도 안 시큰거린다고 함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어깨, 무릎 아플 때 : 특히 소장경 따라 아플 때, 심장이 안 좋은 사람의 거상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불능 / 급성 정신 분열증, 가슴이 두근두근 거릴 때도 쓴다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3] 양쪽 어깨 견갑골 상부가 아프다 → 三宗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고 일어나면 손이 뻣뻣하다길래 → 三重~!

 

2) 견통 견관절통
(1) 어깨 아플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대측 견봉 견중(견중1혈도 가능) / 슬중 / 중자 중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건측 풍륭 + 대장경 : 환측 합곡 / 소장경 : 환측 후계 / 삼초경 : 환측 중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화슬 [김광호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④ 건측 노궁 (+) 96보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⑤ 腎關 九里


(2) 견통 , 주통(肘痛) → 신관 사지
(3) 어깨 외측으로 아플 때 + → 대측 견봉 (견봉단 下 5分) + 견중


(4) 어깨 아플 때, 거상 불능일 때 → 대측 족천금 + 환측 수곡
(

5) 어깨 선상으로 아플 때 → ★ ★ 건측 족천금 + 환측 수곡
          견관절통, 견관절 가동 범위 마지막에서 통증이 있을 때. 거골혈

           깊숙이 아프다는 것도 날아감.

           (견관절에 소리 나면서 아프고 잘 안 낫는 경우, 관절강내 질환으로 저녁이면

            통증 이 심해 아픈 쪽으로 대고 잠을 못 잘 정도, 갑작스런 어깨 충격에도)


(6) 어깨가 차서 아픈 경우 → ① 통곡(-) ② 임읍(-) 양곡 (+) ; 바로 좋아지더라.
(7) 어깨 臑兪 부위 아픈 데도 → 오호5 (臑 : 팔꿈치 노)
(8) 견관절 내측 → 대측 내슬안을 深刺
         후측 → 대측 외슬안
          외측 → 슬중


(9) 오십견
        ① 조구 透 승산 후계 액문 신관
        ② 오십견, 견비불리 → 환측 화슬(특히 심장이 안 좋거나, 소장경상으로 이상 있을 때)
        ③ 견중


(10) 팔을 움직이면 어깨에서 소리가 난다길래 → 화슬~!

        #소택후 5푼


(11) 통심 통령 통관 통산 中 2穴 + 사지 → 견관절통 사지통 슬개통

        예1] 오십견이 너무 심해 세수도 못하고 옷도 못 입고 허리띠도 못 매고 외전도 안 되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팔도 90도 까지만 거상 → 견중 건중 신관 + 심슬+ 환측 척택 염전 5회


         예2] 오십견 5년 → 통곡(-) 바로 올라가더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『침구요결』p.118 통풍문- 痛痺寒勝 → 대장승격, 양곡 양계(+) 통곡 이간(-)


          예3] 47세 남자, 경찰관, 견관절 주위염, 오른팔 거상 외전 회전 時 통증이 심하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左 내외슬안 슬중 측삼리 측하삼리 족천금 족오금 신관


           예4] 당뇨환자, 견관절통, 거상. 외전 難 → 신관 사지 ★


           예5] 81세 남 얼굴 붉고, 원래 심장이 안 좋다. 오십견 굴곡 외전 작게 됨. 뒤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혁대 를 못 만진다. 손을 바로 내리면 아파서 안 된다. 서서히~내려야 덜 아픔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대측 통곡(-) 6시간 유침. 1시간마다 돌림. 70%정도 좋아짐. 발침 후20% 돌아옴.

             예6] 신관으로 거상은 되는데 뒤로 제끼지 못할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 족천금 족오금 하면 거상도 빨리, 외전도 빨리~!


             예7] 어깨선상 무겁고 아프다. 팔 손목까지 무겁고 저리다. 대퇴 담경상으로도..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따뜻하게 하면 좋다. 일기예보형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인영 < 촌구 脈沈 木實相火虛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지구(-) 손등이 터지는 것 같다. 안 맞지. 지구(+)로 바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지구(+) 꽂는 순간 바로 완전히 날아감 : 눈이 환해진다고 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무조건 아프다고 火穴(-) 하면 안 된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cf. 상비통 → 측삼리 육완, 목의 측후면 통증 → 중자 중선 / 상백


             예8] 견관절 아플 때 명치 ~ 중완 사이 아프면 → 통위(+) 통증 사라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9] 27세 여자, 마사지 관리사, 兩 어깨에서 삼각근 부위까지 아프고 오른쪽 고황통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兩 화슬 지종

 
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0] 74세, 견통, 들지도 못하고 제끼지도 못 한다 → 견응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1] 골프 칠 때 마지막 shot을 하면 어깨 노유(臑兪) 부위가 아프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견응 견중 신관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2] 어깨 삼초경 소장경 사이 아프다 → 지구(-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3] 어깨가 아프다. → 심포 삼초에 屬 촌 > 인 심포실. 족궐음 간경의 수(+) 토(-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건측에 맥을 보았다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14] 여 소양인. 오른쪽 어깨 밤만 되면 아프고 차게 하면 아프다. 냉이 심하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좌 < 右寸 폐실. 화(+) 수(-) -- 비경 음릉천(-) 대도(+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실수로 대돈(+) 했는데 계속 좋아지고 냉도 없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견우 부위만 아프다. 심포 삼초로 보고 삼초실. 수(+) 토(-) -- 담경 양릉천(-) 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바로 없어짐.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5] 65세 남 오른쪽 어깨 뒤쪽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폐 대장으로 보고 인 > 촌 대장실. 화(+) 수(-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 족양명 위경 내정(-) 해계(+) ; 바로 날아감.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6] 어깨 푹푹 쑤시고 아프다 → 심포 삼초경 참 좋다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7] 74세 여. 우측 견통. 항강통. 전신 重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대도 1혈. 침 맞고 몸 무겁고 힘들다. 이틀 후 증상 없어지면서 병도 날아 감.

 

3) 견비통(어깨팔 통증)
(1) 팔이 어깨에서 손까지 죽~ 아플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삼중★ : 견관절, 상하비(臂 : 팔비), 완관절, 손 모두 아프고 저릴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측삼리. 측하삼리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③ 외관透 내관 절골透삼음교 곤륜透태계

 

           예1] 64세 남자, 견비통이 너무 심해 잠을 못 잘 정도 (유양돌기~손끝), 5년, 외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불능 내전불능 거상 약간, 구두 닦는 사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삼초正 (액문- 중저+) 소장正 (전곡- 후계+) 담正 (협계- 임읍+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 신관 족천금 족오금 견응 견중 건중


          예2] 어깨 대장경 上으로 아프다 → 상백 : 뽑으면 재발하길래 瀉法을 썼더니 OK~!


         예3] 상비 대장경 上으로 아플 때 → 七九里 (풍시 + 중독)


          예4] 48세 여 왼쪽 삼초경상 저리고 애린다. → 용천(木穴)인 한번에


          예5] 손이 소장경 線上을 따라 저리고 아플 때 → 대측 신관. 부류. 오호12


          예6] 오른쪽 소장경 상 저리고 경추 디스크 → 비경의 은백


          예7] 목에서 양명경 따라 주관절까지 , 이하 손까지 소장경 따라 아프다 → 상백 화슬


          예8] 70세 마르고 예민한 고물상 할아버지, 어깨에서 곡지 부위까지 터질 듯 아파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팔이 뒤로 제끼지 못한다, 손발도 차고 발가락도 저리고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兩 삼중


           예9] 당뇨병으로 兩 어깨~五指, 무릎~五趾 모두 저림 → 학정★으로 즉석에서 90% 호전 


           예10] 삼각근통. 푹푹 쑤신다 → 건측 사지 1혈


            예11] 우 삼각근 전체 통 삥 돌아가면서 우리하게 아프다. 자발통 → 간정격(환측 맥 보고)


             예12] 삼각근 거상시 통증 → 측삼리 측하삼리 : 통증 없어짐 / 당기는 것 남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소충 (김동식 샘 曰] 화슬도 됨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13] 극상근 염좌 → 신관 안됨 → 측삼리 됨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14] 양 팔 앞으로 해서 옆으로 삼각근통 (팔을 뒤로 하면 아프다) → 사지

 

(2) 견비불리
① 견비운동의 불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ⅰ) 견비불리 → 신관 + 척택 瀉
               ⅱ) 외삼관의 중관, 상구리, 중구리, 척택 → 견비운동이 자유롭지 못할 때 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ⅲ) 肩臂를 좌우로 움직일 수 없을 때, 신관 + 중간 1혈(중관)★


② 팔이 뒤로 안 제껴질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ⅰ) 측삼리 측하삼리 → 팔이 뒤로 안 제껴질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ⅱ) 팔을 뒤로 제끼지 못 할 때 → 족천금 + 사화 中 / 족천금 족오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ⅲ) 어깨를 뒤로 못 할 때 → 견응 / 중자 중선


③ 手臂不能擧: 견관절 뉴상, 오십견도 쓴다.
            ⅰ) 거상 불리 → 신관 + 척택 사혈★


              ⅱ) 거상 불능 時 일단은 신관★ (특히 신허일 때) ~ !
              ㄱ. 양명경으로 아프다면 + 삼간 : 견비불거(오십견)에 특효 ~!!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ㄴ. 특히 대장경 이상이면 조구透 승산 : 국부 취혈 보다 효과가 신속, 탁월
              ㄷ. 오래 되었거나 심할 경우 + 척택瀉★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ㄹ. 외전(밖으로) 곤란 時 + 족천금 족오금★ / 中關
              ☯ 족천금 족오금은 견관절 후측통에 잘 듣는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ㅁ. 병이 오래 되어 肩部 응결이 심하면 + 肘窩 청근 방혈★(窩:움집 우묵한 곳 와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ㅂ. 환측 사화중 역시 특효.
              ㅅ. 화골2


             ⅲ) 상지 거상불리 → 건측 소골 123 모두 취혈 ★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치료해도 효과 없길래, 뼈 때문인가 생각 (경골 옆으로 조금 나가서 취혈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ⅳ) 외관透내관, 곤륜透 태계, 절골透삼음교★ 『장p101』手不能擧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어깨 ~ 손끝까지 견관절이 빠졌을 때, 팔이 굽어 펴질 못할 때, 팔이 죽~ 당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때, 수불능거 or 팔 외측 또는 내측 아플 때 (건측에 써라. 좋다. 한 번에 나을 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도 있다. 투자할 때 뚫지는 말라고 배웠는데...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ㄱ. 외관透내관, 곤륜透태계, 절골透삼음교, 자침 후 肱中 해 보면 좋을 것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ㄴ. 삼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ㄷ. 肱中도 팔 들게 한다. (肱 :팔뚝 굉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ⅴ) 『장』p. 128 상지마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낙상 견삼침 / 상지탄탄 → 굉중 노상 / 완하수 → 굉중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ⅵ) 심장으로 팔이 안 올라간다면 → 화슬 내통관 내통산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ⅶ) 거상불리 → 대측 천추 수분 활육문 관원[천추와 수분을 이은 선상의 압통점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5分 정도 사법 15분쯤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ⅷ) 거상불능 → 담혈도 잘 되더라 (木太過 해서 그런지, 스트레스 많아서 그런지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ⅸ) 중풍으로 거상 불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ㄱ. 영골 대백 신관 풍시 - 참 좋다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ㄴ. 팔 외측으로 아프다 - 삼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ㄷ. 외관透내관, 곤륜透태계, 절골透삼음교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④ 상지 땡길 때 → 굉중 cf. 심포 삼초 침 / 삼중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중풍환자, 거상불능 → 신관 구허, 조구透승산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2] 거상불능 치료 후 삼각근 중간부 좌우 쪽 남아있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칠호 자침 후 바로 날아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3] 67세. 남 중풍환자. 팔 못 드는 것 팔 빠진 사람. 10번 쓰니까 2/3가 올라 붙더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외관透 내관 곤륜透태계 절골透삼음교 『기혈』p101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4] 43세. 여 피아노 강사. 견우, 전후, 곡원, 병풍 부위 아프고 하비, 양경 쪽 저리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손가락 다 저리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외관透내관, 곤륜透태계, 절골透삼음교 : 나갈 때 깨끗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5] 술 먹다가 팔을 못 움직임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견중 신관 척택(작탁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6] 스트레스 받으면. 투망을 한다. 견관절 포함. 앞뒤로 아프다. 후진 거상시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심포 삼초로 보고 人 < 寸 삼초허 木(+) 水(-). -담경 협계(-) 임읍(+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50% 좋아짐. 구맥. 인 < 촌 심실. -태백(-) 80% 좋아짐 허리: 자고 나니까 100%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⑤ 팔꿈치를 굽히긴 하는데 펴질 못할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→ 주령 / 슬중 / 肱中★ (『장』p.26, p128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☯ 굉중 척택 → 거상불능, 거상 時 광배근 동통으로 못 올리는 사람에게도 好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중풍환자 Wernickeman’s position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건측 굉중을 염전했더니 크게 원을 그리면서 팔을 좍 ~펴더라..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 5분 후 발침하니깐 다시 구부러지길래 재침하고 30분 유침하면서 염전했더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괜찮아짐. 이후 일주일마다 자침. 재발 안 함~!!!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2] 주관절이 땡겨서 팔이 원활하게 안 펴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굉중 쓰니까 팔이 죽~ 뻗긴 하는데 땡기는 것 30% 잔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+ 화산으로 ok~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근데 주관절 부위에 쥐가 난다길래 + 측삼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어깨선상으로 거골 깊숙이 아픈 것 같아 + 족천금 수곡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3] 폐경 부위로 땡겨서 팔을 펴질 못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신관 사지 : 찌르자마자 날아감 (+영골 한다면 확실하게 좋아짐~!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4] 중풍환자 2개월 팔 고꾸라진 채 움직이질 못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→ 대측 굉중(염전 총10분) : 팔이 머리 위까지 죽~올라가더니 어느 정도 펴짐.

4) 상비통(위 팔뚝 통증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1) 팔이 죽~ 저릴 때 → 삼중 오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2) 양쪽 상비 내측(심포경)으로 우리~하게 아프다. → 삼중 + 족궐음 榮, 兪 (행간 태충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3) 상비 내측으로 아프고 힘이 없다 → 외삼관 (『경험록』p.99 견통무력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4) 상비 소장경상 통증 → 상삼황 + 삼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5) 상비통, 우리하게 아프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건측 측삼리 육완 ★★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② 대 상곡 방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슬안 + 사화중(또는 사화하)를 방혈 [p164]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6) 상비 견중을 중심으로 삼각근 양측 부위 아플 때 → 칠호 하삼황 측(하) 삼리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7) 수각통 → 사지 삼음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8) 사지통 슬개통 견관절통 → 통심 통영 통천 통관 중 2혈 + 사지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9) 수추근 → 화릉 화산 cf. 각추근 → 정근 차백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10) 상비 저린 것 → 측삼리 측하삼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39세 여자, 견관절 치료 후 상비 ~ 천정까지 삼초경 따라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대측 외삼관 : 많이 좋아졌는데 땡기는 것이 남았다길래 + 대측 견응~!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2] 누워서 상체를 조금만 구부려도 땡기고 아프다. 濕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태백 補 (81회) 하나로 몇 달 고생한 것 바로 날아감~!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3] 오른쪽 심포경 쪽으로 손 저리고 손끝을 대기만 해도 아프다 → 노궁(-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4] 산후 7년 수비무력 시금치 2단 핸드백 빗자루를 못 든다. 남편이 속 많이 썩인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人宗 上 1.5寸(주과 상 3寸) 즉 肱中穴. 10초 후 팔에 힘이 생김. 재발도 없다.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예5] 63세 남 신문 500부 배달 상비통 (삼초경상) → 태계 (심-삼초 별통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6] 팔에서 손가락 5지까지 저림 → 내관 1혈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7] 골프 치는 사람 下臂 소장경상 감각이 없다.→ 풍륭 / 양곡(-) 바로 없어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8] 목 디스크 수술 후 재발 하비 소장경상 저리고 아픔 → 후계 속골 반응 ˟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정척1 2 3 : 바로 90% 좋아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9] 수오리 자침을 잘못하여 마비나 저림. → 인중(+). 나가노 침에 나옴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0] 40세 여 밤 되면 양 어깨~손가락까지 아프고, 손가락 마디가 류머티스처럼 다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악권 안됨. 너무 아파서 자다가 운다. 오른쪽이 통증 더 심하다. 낮에도 아픔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左右 鉤脈 人> 寸 소장실 심허.-- 左 대돈(+). 반대측으로 40% 정도 좋더라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  左尺 > 右尺 심포 삼초로 보고 -- 관충(-) 다시 20% 좋아짐 : 악권된다. 어깨도 좋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鉤脈 그대로 있다. 人> 寸 굉장히 말랐다. 소장실. -- 평소 소화기도 안 좋다고 해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 삼리(-) : 이제사 살겠다고 함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반대 쪽은 그대로라고 해서 人 > 寸 (˟ 5) 기경팔맥 침 썼다. → 후계(-) : 좋아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1] 천 번 절한 후. 양 상하비 전체 가만히 있어도 알 밴 듯이 아프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측삼리 육완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2] 고교생. 간 이식 수술 후(수술시 양 팔 묶고 함) 兩臂廉痛. 상하비가 터질 듯이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지황 인황 영골 대백 중저 완순12 지종 『이국정』수지마 : 5번 하니까 5%정도 남음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3] 50세 양팔 상체 심하게 떤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상삼황 간문 진정 정회(배혈로 자꾸 활용해 볼 것) 15분 유침 후 한 번에 끝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4] 수비 외측통 → 상삼황으로 1개월 치료

 

2. 하비(下臂) (아래 팔뚝)
1) 주관절통(팔꿈치 통증 : 엘보)
(1) 주관절 외측(테니스 엘보) → 대측 족규음, 대측 외슬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내측(골프 엘보) → 대측 내규음, 대측 내슬안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주두(天井 부위 통증) → 대측 중규음, 슬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엘보에 규음을 쓴다면, 무릎 병변에 관충을 쓰면 어떨까...
(2) 肘痛 → 영골 + 풍시 (견인) / 영골 + 곡지. 수삼리 / 규음
(3) 엘보 (곡지부근 통증) → ★ 肘靈 (13권 p70 : 曲膝. 膝外側 橫紋 傍 淊凹處)


(4) 테니스 엘보 (곡지부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환측 아픈 부위의 건 위에 하나. 건 옆에 붙여 하나씩 + 아래 위로.
(5) 테니스 엘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★ 건측 곡지 수삼리 환측 영골 : 찌르면 날아감 ~!!!
(6) 左곡지통 → 右 곡지로 치료~!
(7) 주관절통 → 영골/ 중구리/ 사화중/ 곡릉/ 신관 사지
(8) 주관절통 → 심. 소장. 寸脈 비교
(9) 주관절통 → 척택 딱 찌르니까 나음 『장』p.102
(10) 주와통 → 대측 담정격


(11) 주관절 뺑 돌아가면서 아플 때 → 규음 내규음 외규음 / 잘 안되면 담정격/ 삼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주관절 상하 삼초. 대장경상으로(비노~지구) 땡기고 아파서 2개월간 堀肘 상태로 지냄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주령 + 근처 1혈 추가 : 일도 쾌차 ~ ! ! 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2] Golfer’s elbow 양측 시큰거린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테니스엘보 처방 [영골(환측), 곡지 수삼리(건측)]을 그대로 쓰니 괜찮더라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肘內側痛 3개월 후 재발 - 직업성, 건측에 자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3] 주두 음소해(手少陰) 양소해(手太陽)부위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수소음경의 통증 : 연곡(-), 수태양경의 통증 : 곤륜(-) [통증은 火穴(-)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 딱 찌르니까 날라가더라!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김동식샘] 수궐음경상 통증 → 족궐음의 榮혈 兪혈 썼더니 좋더라.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4] 주와통. 펴면 땡기고 아프다 → 중자 중선 척택 (슬와 부위 당길 때 : 중자 중선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5] 무거운 걸 많이 드는 사람. 원래 주두 전체가 안 좋았는데 최근 3~4일 심해져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척택 자침 후 약간 염전 25분 후 뺌 : 바로 나음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6] 굴신 시 주관절통 → 영골 중구리

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7] 컴퓨터 직업. 右 주관절 삥 돌아 통증 무거운 감이 있고 뼈도 좀 아프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신관(50%) → 加 사지(30%) 유침후 90%까지 → 加 복원(100%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신관 사지 → 주통 견통 특효

 

2) 수삼리 부근 아프다 → 천황(또는 음릉천) 사지★ : 찌르면 날아감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『경험』p.95 삼음교도 같이 쓰면 好

3) 주관절에서 손까지 아플 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심장이 안 좋은 사람이 새끼손가락부터 팔꿈치까지 소장경 따라 아플 때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→ 대측 화슬을 찌르니깐 싹~ 날아감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2] 67세, 男. 당뇨(심하지 않다) 십여 년 전 팔 다침. 뒤로 하는 것 부자연스럽다. 하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외측과 손가락 3.4.5지 저리다. → 외관透내관 곤륜透태계 절골透삼음교 30분 유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나갈 때 깨끗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3] 천사 지사 쪽 통증 심포경 쪽 알 밴 듯이 딴딴 → 노궁(-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4] 심포경상 당김 → 하삼황 / 간경의 행간 태충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5] 부딪히기만 하면 전기 통하듯 찌릿하고, 특히 외과주변을 만지면 더 심하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내관 간사 (能提脈)

 

4) 手痛不能据物(손이 아파서 물건을 들지 못함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1) 대측 측삼리 측하삼리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2) 중자 중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3) 신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4) 팔관 34 : 手臂痛 腿痛 (腿 : 넓적 다리 퇴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☯ [김광호샘] 삼중 육완 깔고 시작하는 것이 좋더라.

 

3. 手指(손가락)
1) 완관절(손목)
            (1) 완관절통(손목통증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완관절, 족관절에서부터 손가락까지 모두 아플 때 → 대측 신관. 부류★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골관 목관 부위 통증 → 대측 대릉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양계 부위 통증 → 대측 태연 해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태연 부위 통증 → 대측 양계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양지 부위 통증 → 구허 / 삼중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④ 수각통 → 화주 + 영골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⑤ 자갈풍 손등 혹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ⅰ) 삼중 : 2번에 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ⅱ) 측삼리 측하삼리 : 2번에 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ⅲ) 五方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ⅳ) 어혈방(96 개합보사) 딱딱하면 加 五方鍼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⑥ 완관절통 → 측삼리 측하삼리 ★★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⑦ 완관절통 『장』p.101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ⅰ) ★제2양지(陽池혈에서 엄지 쪽으로 폭 꺼진데) 腕骨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ⅱ) 상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⑧ 건초염 → 양측 오호1. 動氣針法이 특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⑨ 腕臂痛 → ★ 水愈 방혈 : 멋지다. 견통이 있으면 환측 수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완관절통에 측삼리 측하삼리를 썼는데 2회가 지나도 별 차도가 없길래 류마티스라는 말을 듣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→ 대측 견중 건중 통관 통천 신관 ★을 썼더니 ok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전신관절염 유주성 풍습병 요산성 관절염..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2] 30대 남자, 컴퓨터 하는 사람, 완관절이 뺑~돌아가면서 아프다. 특히 양곡 부위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마우스 돌릴 때 더 아프다. → 대측 화연★『자락』p.81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3] 산후 7개월, 양 손목관절 뺑 돌아가며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사지 삼음교✰(수각통) 신관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4] 양곡혈 부위가 푸석하게 부어 물렁물렁하고 붉고 열감, 전후좌우로 움직이기 불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소부 瀉 음곡 補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5] 양곡 부위가 아프고 시큰거려서 핸들을 못 돌리겠다. → 곤륜★ / 화주 영골 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6] 건초염 1개월 동안 끌다가 맥을 보니 土 > 水 → 태백(-)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7] 양지혈 통증 심 火 < 金 → 중저(-) : 바로 효과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8] 자갈풍 鉤脈 → 대돈 (+) : 바로 끝남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9] 경거 부위에 땅콩 크기의 물렁물렁한 덩어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건측 어혈방 1번으로 즉치 / 오방침. 神門 뜸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0] 건초염 → 건측 목두 목류 : 통증 없어지고 재발 없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1] 右양지 완관절 빙 둘러 통증. 6개월 칼질하면 손목 시큰 → 소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2] 세탁소 아줌마 손목 주변통 시큰거린다 → 폐정격(손목... 폐 대장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3] 5지 쪽 손목통 → 통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4] 18세 유도 선수. 대릉 주변 통증 → 측삼리 측하삼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5] 완관절 시큰. 운동장애(일 많이 해서). 완관절 상하운동 장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측삼리 측하삼리 : 상하운동 장애 / 측삼리 측하삼리 소절 해계 곤륜 동기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신문 부위 통증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<측삼리혈위> 측삼리는 양릉천 직하 1촌부위(비골하연 1촌부위), 측하삼리는 측삼리 下 2촌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16] 대릉 부위통 (~노궁까지) 옷 갈아입을 때, 손목 돌릴 때, 소리 날 때, 거상 시 아프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측삼리 측하삼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17] 양계 부위 통증 → 태연 / 오호 복원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 18] 중계~대백 칼 찔림 5~6cm 깊이 통증 심 → 대도 해표 압통점 (발바닥 쪽으로 자침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19] 완관절통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측삼리 측하삼리 동기침 : 완관절통 악권불능 時 환측이 더 좋은 듯 하더라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20] 완관절 전굴 곤란 → 측삼리 측하삼리 끝이 잘 안 나서 加 신관 『침구처방학』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21] 완관절통 → 대릉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골절인지 삐었는지 부러졌는지 금 갔는지 아는 법 (통증 심하면 골절)

(2) 완관절 염좌(= 손목 삔 것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완관절 삔 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ⅰ) 측삼리 측하삼리 - 동기침법 중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ⅱ) 화주 수천 ★(팔씨름 하다가 팔목이 시큰거릴 때도 水泉) - 손목, 손가락 뉴상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ⅲ) 사마 - 손목, 발목 뉴상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완관절 橈惻으로 삐었을 때 → 환측 상백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발목 삔 데 소절을 쓴다면 손목 삔 데 엄지발가락에서 소절에 상응한 혈을 찾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써보면 어떨까...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④ 완관절 뉴상 → 천황 외삼관 사지 금통 화통 목통 : 이것만 해도 낫더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1] 69세 할머니, 아파트로 이사 후 1개월 간 청소를 너무 열심히 하여 오른쪽 魚腹剖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아프고 완관절이 시큰거리고 회전할 때 통증이 있다, 밤에 더 심하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→ 옥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2] 농구하다 완관절 삠 → 양릉천 내외슬안 동기침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3] 완관절 염좌(양계 양곡 부위통) → 첫날 해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다음날 양곡 부위가 조금 남아서 해계

(3) 완관절 마비 하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腕下垂 → ★ 굉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手腕下垂 → 환측 곡지透소해 『장』p. 103 : 에 2번 놓으니까 좋더라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手腕無力 → 수곡 / ★ 열결 『경험록』p.71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④ 수완무력 동통 → 외삼관 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⑤ 손이 말려 들어가는 사람 → 차삼 : 대퇴통 피로에도 잘 듣는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] 주먹 쥐기 힘들다. 열결 안되면 측삼리 측하삼리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주먹 쥐기 힘들고 힘이 없다면 → 곡지透소해. 환측에 해도 되고, 透刺 안 해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되더라 『장육민』p.103

 

2) 완관절에서 수지까지 아플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1) 수지에서 손바닥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① 手指-手掌에 걸쳐서 아플 때★ → 인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ex. 골프 치는 사람, 골프채 잡는 부분에 부딪혀서 어제 부위가 아플 때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손바닥 아픈데 → 용천 瀉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어제부위 통증 → 중백 하백/ 人士 / 공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④ 손바닥 저린데 → 환측 내관 1혈로도 날아간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경추 문제로 오른 손바닥이 마르고 각질, 땀이 없고, 물건을 오래 쥐질 못하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힘이 없어 공도 못 던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소해 소부 음곡 연곡 + 통산 사마 삼중 육완: 격일 시술, 2회 만에 치료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2] 손바닥 저림 아파서 화장도 못함. 팔을 내릴 때는 괜찮은데 팔을 올릴 때 아프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혈액순환 장애로 봄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슬내측 上 1寸 內 1寸 : 거의 다 없어졌으나 손끝이 남음 - 신관, 부류 좋은 것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같으나 곧 소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☯ 내관 간사 : 너무도 시원하게 날라감. 能提脈(p190)

 

(2) 수지에서 손등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손등을 부딪쳐서 붓고, 악권이 안 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신정격(태계 부류) 9*6 보사 : 악권 可 꽉 지니까 뼈가 아프길래 + 오호1 복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 뼈 누르니깐 아파서 옥화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 2] 합곡 부위에 대못에 찔려 팔까지 죽~ 아프다 → 분지 상하 습부항 + 자침(쇠毒)

 

3) 수지통(손가락 통증)
(1) 수지 전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① 모든 손가락 통증 → 오호 1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② 五指皆痛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ⅰ) 대측 수삼리 절골 외관 (-)★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ⅱ) 담정격 담승격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ⅲ) 해표 담혈 오호 중백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ⅳ) 토수 (위 안 좋을 때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ⅴ) 人士 : 대부분 바로 낫는다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指關節痛 → 오호1 / 人士 / 대골공 소골공 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④ 手指拘攣不伸 → 저매 123 / 사봉 / 화련 화국 화산 (拘 : 잡을 구) (攣 : 결릴 련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⑤ 手 굴신불능 → 사봉/ 화연 화국 화산/ 신견★ + 백회 영골 상삼황 통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⑥ 손의 운동이 자유롭지 않을 때, 걸레질에 힘이 안 들어 갈 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★ 삼중 (어깨~ 손끝까지 다 저리고 아플 때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⑦ 手指痲(손가락 저림 마비) → 신관 부류★★/ 학정/ 통관 통산 (中指痲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☯ 신관 + 부류 → 수지마.+ 十指동통(신관 1 혈로도 좋다) 특효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⑧ 수지마목 → 대측 문금 속골 後 대간 혹은 加 오호 압통점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⑨ 다섯 손가락 모두 저릴 때 → 환측 수삼리 下斜刺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0. 손이 아프고 저려서 쥐질 못함 → 측삼리. 측하삼리 : 약간 호전. 加 삼중 : 완치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1. 아침이면 손이 뻣뻣해지면서 주먹이 안 쥐어지는 사람 → 삼중 ✰ (+육완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2. 주먹 쥔 상태에서 손이 안 펴질 때 → 중자 중선 + 척택(-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3. 손 차다 → 중충 관충 [직자] 액문(or 중저) / 소부(+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1] 한쪽 손가락 전체가 저리고 감각이 없이 찌릿찌릿하다, 4-5개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대측 금문 속골 + 대간★ : 『경험』p8 / +오호 12 해도 좋지 않을까....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2] 양 손끝이 다 갈라져서 물에 손을 못 넣은 지 20년 된 환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제오 방혈 후 수지침으로 유침 (男左女右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3] Raynaud → 화릉 화산으로 100% 굴신 可 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4] 생손앓이 → 대측 해표 : 아프고 붓는 것 없어짐~!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5] 손에 힘이 없어 컵을 못 든다 → 대측 열결 굉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6] 넘어져서 손가락 다친 사람 → 오호 압통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7] 손가락 말림 (중풍 아닌데) → 사봉 三 : 한 혈로도 좋다
(2) 1지(=엄지=무지)
    1.통엔 오호1 단, 뼈의 이상이라면 → 오호 복원 소골 (拇 :엄지손가락 무) 
    2  - 오호 1중자 중선 해표...
   3 지 손가락 통증에 해표 ★
무지가 삐었거나 아프거나 생손앓이 할 때나 무지 云云하는 것은 모두 해표~!
    엄지 손가락 뿌리부가 아프고 만져 보니깐 콩알만한 게 따글따글 하다 → 소골침!
    무지 탄발지 → 영골 / 해표 / 중자 중선 / 환측 척택
     탄발지 → 오호 복원 소골 if. 관절통 → 人士, 속 안 좋으면 → 통위
   해표 + 상백 → 1.2지통(저리거나 아픈 경우 모두 !)
      예] 싸움 말리다가 무지가 뒤로 제껴지면서 삔 경우, 배구하다가 엄지손가락을 삔 경우
         대측 해표
  예] 꽃집에서 가위질을 많이 해서 무지 배굴(뒤로 젖힘)이 안 된다 → 오호1 + 신관 부류
   예] 엄지 손가락을 뒤로 제끼다가 삐끗~
→ 오호 3에 손등 방향으로 자침했더니 낫더라~
예4] 무지 배굴이 안됨. 아프지는 않음 → 대돈 자침 후 바로 올라옴
예5] 엄지 탄발지 → 해표1
2지 4지+2지 3지 → 환측 오호 압통점 2 3
양손 3지 한 손 3 4지 → 오호 압통점 1 2 : 바로 없어짐.(적백육제에서 手指
쪽으로 자침)
예6] 男 左엄지 탄발지 아프다. 右 식지 척측통, 탄발지 → 해표로 다 끝

(3) 2지(=검지=식지)
① 2지통 → 사화중★
예] 테니스 치다가 식지 굴신이 안 될 때 → 양쪽 사화중
② 식지 굴신 難 → 중자
③ 2지 지장 관절부가 아프고 붓는다
→ 조구. 조구 下 2寸 : 다음날 보니깐 나아 있더라~
④ 식지통 → 대장수
⑤ 식지통 → 오호 1 특효

예1] 38세 아주머니 온 전신이 아프다. 10년 정도 됨, 소음인형
순산했는가? 아니오 鉤脈. 寸口 < 人迎 (이렇다면 성질이 괄괄하기 마련)
土 > 水 제일 괴로운 것은 양 식지 뻣뻣하고 저리다. 어깨 아프다. 자세히 물으니
견갑 부위 (소장경 부위)
→ 태백(-) 는 너무 마르게 하니까 “족삼리(-) 후 사화중” [소장승격의 의미] 1도 쾌차
(p81) 사화중 穴 治 식지통 주만통(환측)
발침 후 반대쪽은 남음. 그래서 건측 사화중 다시 찔러봄. 아까처럼 산뜻하지 않음.
왜 그런지는 모르겠다.
예2] 식지 염좌. 대장 虛脈 → 족양명 위경 충양 근처 자침. 바로 날아감

(4) 3지(=중지)
① (목두) 목류 → 중지. 무명지 동통 및 굴신불리 ✰
② 중지 탄발지 (안 굽혀지고 안 펴진다)
→ 대측 중자 : 70% 호전 다음날 재침으로 완치!
③ 중지 마목 ★ → 문금 + 문금 前 1촌 + 사지
④ 기계에서 3.4지가 절단되었는데, 3.4지 중수골 부위로 땡기고 굴신이 안됨.
→ 화릉 화산으로 바로 ok~!
⑤ 중지痲 → 통관 통산 : 잘 듣는다.

예1] 중지 무명지 아프고 굴신 안됨 → 소부(-) 후 목류 或 오호 압통점
예2] 중지 무명지 마목 불능굴신 → 목류
예3] 중지 마목 → 문금
예4] 3,4지 탄발지 20년 → 환측 토수2 (어제) 뼈에 붙여 자침 즉치
예5] 다섯 손가락 끝 저리고 3지 탄발지 굴신 못함 → 신관 부류 [저린 것 치유]
오호 압통점 [탄발지 치료]
예6] 4지 삠. 붓고 아프고 굴신 못함 → 영골 대백 사지 삼음교 (+) 목두 목류 : 지
통되고, 굴신 되는데 완전히 굽힌 상태에서 펴면 아프다 → 명황 자침.
[ 굽히기는 하는데 펴지 못한다면 근육병이다(屈而不伸 病在筋) : 肝 → 명황
/ 펴기는 하는데 굽히지를 못한다면 골병이다(伸而不屈 病在骨) : 腎 → 완순 ]

(5) 4지(=무명지)
① 4指痲 (감각이 둔하다) → 대측 신관 부류
② 4-5指 間 붓고 아프다 → 화경 화주 ★ (수족대응침)

(6) 5지(=소지)
① 소지굴신불리 (手太陽) → 속골 (足太陽 兪)

예1] 60세 女. 소양인 左 새끼손가락 삐어서 아프다. → 右화슬 : 자침 후 바로 나음.
예2] 무명지 삠 → 수천 화주 육완 (손발의 상대성)

 

4) 수전증
(1) 노궁
(2) 심정격( 건측. 심허증으로 보고~)
(3) 중자 중선
(4) 신경무력증 수전증 → 백회. 후정 (동시에 꼬리뼈 아픈 경우도~)
(5) 晝痙症 → 심정격 / 노궁★ (痙 : 심줄 땅길 경)
(6) 노인성 진전(兩 손. 머리)
→ 칠성 방혈 + 진정 백회 : 3회에 완치! (손끝 저린 것, 악권불능)

예1] 연필 가지고 뭘 쓰려고만 하면 쥐가 난다. → 상삼황
예2] 손 떨려서 화투장 못 집는 할머니 중자. 중선으로 거뜬~
예3] 손바닥을 대면 안 떠는데, 엄지 검지로 뭔가를 쥐거나 쥐는 동작만 해도 손을 떠
는 게 1년 이상~ → 양 상삼황 + 신관 인황 : 2회로 OK~!
예4] 80세, 손이 시리고 저리고 쥐가 나면서 약간 떨림
→ 곡릉 (-), 신관 직자 (男左女右) : 손이 따뜻해지면서 떠는 것도 없어짐.
예5] 40세 남자, 兩 수전증, 술잔을 들거나 긴장하면 더 떤다.
→ 한쪽 천황 명황 신관 : 유침만 했는데 양쪽 다 날아감.
예6] 43세 여자, 수전증, 30세 냄비 뚜껑을 들 수 없을 정도...
→ 양측 상삼황, 신관 [이상 2혈이 主穴], 신문, 이침 ( 心腎點 ), 여러 차례 자침
예7] 33세, 노총각, 수전증, 국이나 술이 입에 하나도 안 들어감, → 상삼황 신관
예8] 누워서 손바닥을 위로 하면 떤다,3년 →상삼황 신관
예9] 75세 여자, 왼쪽 팔을 심하게 떤다,7년
→ 상, 하삼황을 써도 별 차도가 없었다. 혀가 아프다길래
→ 중자 중선 소부 寫 어제 寫 + 사화中 + 상하삼황
예10] 할아버지 손을 떤다 → 삼중 진정. 10회로 끝
예11] 60세 여자 兩 수전증 4개월. 평상시 양 무릎 아프고 굽혀지지 않고 천식 有
→ 右寸實 (金實) 人 < 寸 - 폐실 右 경거(-) 소부(-) [김동식샘 曰 경거(-)만 하
는 게 좋겠다] 다음날 경거 (-) 하니까 다 끝

20> 하지(下肢)

 

1. 대퇴(大腿) ( : 허벅지)
1) 고관절통
(1) 환도부위가 시큰시큰하다 → ★ 중백(動氣)
(2) 대퇴골두통 → 중백 하백
(3) 고관절통 → 오호 5개 모두 / 중구리 + 중독 / 환측 행간 上 1寸
(4) 환도부가 시큰시큰하며 아플 때 → 대측 곤륜 寫
[김광호샘] 양로 또는 후추 수영도 간다. / 사마 중간 交刺
(5) 환도부가 가렵고 긁으면 헌다 [김광호] → 견중 (둔부 . 경항 피부병)

 

2) 고관절에서 다리까지 아플 때

예1] 70세, 좌골신경통, 환도~ 담경 上으로 4로까지 땡기고 저리고 아파서 밤에 자다가
도 두드릴 정도.
→ 대측 수곡 ★ : 약간 염전, 25-30분 유침, 한번으로 OK ~!
예2] 대전자 ~ 엉치 부위로 帶脈 따라 땡기고 아프고 저려서 이제껏 진통제로 살았다.
→ 중구리 + 후추 수영
예3] 47세 전업주부, 굉장히 뚱뚱한데 요추뼈부터 고관절이 터질 듯 아프고, 담경 따라
한 뼘 너비로 외과까지 땡기고 저리고 무겁고, 아침에 일어 날 때 더 심해 밥을 못할
정도라고 함, → 상백 견중 ★ (刺骨蓮大腿痛至外踝)
예4] 왼쪽 환도~ 외과까지 저리고 아파서 두 손을 늑골 하부에 대고 구부리고 들어오더라.
→ 오른쪽 수곡 : 모두 다 날아감.『경험』p.70
예5] 55세 오른쪽 대전자에서부터 다리 전체가 저림
→ 대측 중구리 상구리 50% 좋아짐. 다음날 자침 후 깨끗이 나음
예6] 오른쪽 다리 불편 어정쩡한 기마자세 허리도 굽어 있다. 아들이 지체 부자유
얼굴도 붉고 해서 화가 쌓여 있겠다 싶어 → 소부(-) 자침 즉시 95% 효과
예7] 55세 여 양반다리 못함. 늘 펴고 있어야 한다. 오래 걸으면 슬내측통
→ 심문 : 則治
예8] 김동식 샘 방광경상~ 발바닥 대퇴부까지 저리고 따갑다.
左尺 < 右尺 방광허. 金을 補해야겠지. 삼초경의 金穴인 관충 → 좌측 관충 96보사.
유침을 하니까 더 좋더라.
반대측은 담경이 아프다 → 액문

 

3) 둔부통(엉덩이 통증)
(1) 둔부통 → 좌골신경점 / 소절 / 소백 / 폐심 / 마금수 / 영골.
(2) 둔부통, 스트레스가 많다 → 지구 寫 +행간 上 1寸
(3) 刺骨蓮大腿痛至外踝 → 先鍼 상백 (對) 再鍼 견중 『장』p. 109
(4) 刺骨(PSIS)蓮大腿痛至外踝 → 상백 견중 ★
(5) 승부에서 승산까지 땡긴다 → 건측 곡릉
(6) 발 배굴시 발뒤꿈치 ~ 승산까지 땡긴다 → 화릉 화산 (手抽筋처방)
(7) 둔부에서 다리까지 아플 때 (좌골신경통)
① 둔부 쪽 통증이 심할 때 → 좌골 환도
② 통증이 둔부부터 내려갈 때 → 견중 운백 상곡
③ 대측 사마 + 환측 중간 交刺★ : 둔부통 - 둔부 움직일 때 아프고 굴슬 상태에서
 외전이 안 될 때. 승부혈 아픈 것은 한 번에 된다.

예1] 술 많이 마시는 노동자, 둔부에서 담경 따라 외과까지 땡기고 저리고 아프다, 2주
→ 행간 上 1寸 + 환측 속골 + 중백 하백★ (족외과통)
예2] 꼬리뼈부터 죽~ 당겨서 다리를 펴고 바로 눕질 못한다.
→ 건 폐심 : 땡기고 아픈 것 다 날아감 + 통신 통위 하삼황 (습 제거)
예3] 요추디스크, 4년 전 수술, 요방형근~중둔근~대퇴 외측~슬개 상연까지 아프다.
→ 행간 上 1寸
예4] 72세, 방광경 상으로 엉덩이 ~ 발까지 죽 ~ 땡긴다. 고혈압
→ 대릉 내관 간사 : 장딴지 부분이 아직 남았다길래 + 곤륜 寫
예5] 왼쪽 엉치~대퇴외측~방광경으로 정근까지 땡기고 저리고 아파서 기분 나쁠 정도.
50-60 정도 거상, 오른쪽도 60 이상 안됨, 오른쪽으로 항강, 거골 부위까지 목을
돌리면 땡기고 아프다.
→ 오른쪽 상백 : 양쪽 다리 모두 괜찮아짐, 오른쪽 팔도 50%정도~
두어 번 염전한 뒤 + 왼쪽 상백 : 모두 OK~!
예6] 53세 여자, 요통, 엉덩이~승산까지 땡기고 아프다, 협심증 환자
→ 대릉 내관 간사
예7] 방광경 따라 질변~ 정종까지 땡기고 아프다, 가끔 요통, 심장 병력이 없는데도 쓴다.
→ 대릉 내관 간사
예8] 45~50세. 미국 여자 환도 ~담경상~외과 땡기고 저리고 아파서 잠을 못 잠, 떨어져
꼬리뼈가 깨져서 다친 후부터 아픔. 측와해서 다리를 구부리면 덜하다. 누워 있지 못함.
→ 영골 대백 상백 + 건측 골자 : 골자 자침 후 좋다고...

 

4) 대퇴통(허벅지 통증)
(1) 퇴통 → 중구리 하구리 / 영골 대백/ 三宗/ 차삼 / 통관 통산
(2) 대퇴 전면통, 다리를 들지 못함, 痞氣脈 → 토수
(痞 : 뱃속이 결리다, 가슴이 답답하다 비)
(3) 통관 통산 부위가 아프다, 심장이 안 좋은 사람 → 심상 심문
(4) 대퇴 내측통 → 삼종 ★ / 심정격 / 신문 / 심문 / 환측 화주
(5) 대퇴 내측으로 땡길 때 → 간정격, 三宗
☯ 인종 지종 천종 → 대퇴 내측통 ✰ / 대퇴 痠痲無力 / 小腿肚脹痛 (痠 : 저릴 산)
(6) 대퇴통 (肚 : 배, 위 두)
① 차삼 ★ : 디스크에 대퇴가 아플 때 잘 듣더라. 만성일 때
② 金林 점자방혈
③ 풍시 중독
(7) 腿軟無力 (兼心躁) (躁 : 조급할 조)
① 견중 통천 / ★ 견중 통위 혹은 可 통천 중절 : 즉시 낫는다.
② 목지
(8) 腿痲 → ① 사마 ② 대측 견중 : 순서대로 할 것
(9) 腿冷痛
① 쌍봉방혈 통천 통위 : 한 번에 날아감.
② 흉추 양측 점자방혈 통천 통위
③ 광명(-)
④ 寒厥方 : 음곡(+) 태백(-) [김광호샘]


(10) 兩腿浚
① 배면 방혈★ : 즉효
② 수금 수통
③ 대측 七里 九里
(11) 다리 내측 덩어리 → 명황

예1] 럭비선수, 대퇴내측 타박상, 屈膝 難, 만져도 아프다.
→ 환부 + 척택 방혈 + 대측 영골★ (腿掽傷) (掽 : 부딪힐 팽)
예2] 대퇴 내측으로 손바닥 만한 덩어리가 만져진다.
→ 간문 : 15분 만에 딴딴한 덩어리가 다 풀어짐 (대퇴 내측 ~ 肝經)
예3] 집사람 대퇴 전면통 (서혜 ~ 슬개 상연), 右>左
→ 右 영골 화주(手脚痛)
cf. 통관. 통산. 통천 부위가 아프다면 → 심문 ✰ 도 좋다
예4] 38세 남자, 자동차 정비공, 대퇴 전면으로 쑤시고 아프다, 애주가, 위가 안 좋다.
→ 토수 if. 심장이 안 좋다면 → 심문 심상
예5] 대퇴 외측 담경 상으로 아프고, 요통. 잠을 설칠 정도, 서서 굽힐 때 뒤로 젖힐 때
특히 더 아픔, 요추5번 상요선 부근 통증, 불쾌감.
→ 오른쪽 복원 : 괜찮은데 누우니깐 여전히 불편하길래
→ + 좌측 복원: 누워도 ok~!
→ + 후추
예6] 腿冷痛으로 3년간 잠을 못 잘 정도 → 쌍봉 방혈, 통천, 통위
예7] 간경~담경 사이로 차다.
→ 영골. 대백 + 대릉 내관 간사
→ 2회 시술 후 호전, 세 번째는 대릉. 내관. 간사만 자침. 완치!
예8] 김동식샘 曰] 대퇴 외측통, 마비감 着痺濕勝으로 보고 → 비승격 2번에 낫더라.
예9] 사봉3 차3 → 태퇴통 好. 무릎 아픈데

5) 하지 전체가 아플 때
(1) 각추근(脚抽筋) → 정근 차백 / 정근 박구 cf. 手抽筋 → 화릉 화산
(2) 脚背紅腫痛 → 통신 통위 통관 이백 운백
(3) 잠잘 때 땡긴다 → 건측 곡릉
잠잘 때 다리 아프다 → 양측 차백
(4) 하퇴 풍습통, 다리가 무겁고 아플 때
→ ★★ 대측 九里 : 3번 염전하면 낫는다. 그 자리에서 시원해짐.
男 : 九里(풍시上 1寸) / 女 :하백
cf. [김광호샘]은 風市(-). 마른 사람은 조심하라.
(5) 足浚難行 → 차백 혹은 위중 청근 방혈
(6) 脚痛 → 背心穴 (心兪 근처) 쌍봉혈 점자방혈
다리아픔 → 견중 중구리


(7) 일체 하지 동통
① 영골 대백 상백 하백 / ② 차백 1혈

예1] 25세 여자, 천골~둔부~방광경 따라 박구 부위까지 아프다. 지압을 받으러 다니는데
지압 받은 후 집에 가면 브라 후크 부위와 이하 1椎 아래로 아파서 돌아눕지도 못함.
제하에 돌덩이 같은 積이 있길래 → 완순 12 ★
예2] 치질 수술 후 담경 따라 죽~ 땡기는 환자
→ 견중, 중구리로 그 자리서 70% 치료!!!
예3] 눈이 동글동글한 사람(심허) 이 방광경 상으로 땡기고 아파서 왔는데 SLR test 결과,
무릎이 고꾸라지면서 안 올라가더라~ → 대측 대릉. 내관. 간사
예4] 양 다리가 무겁다
김광호샘 曰] 비습한 人 - 風市(-) : 마른 사람은 주의하라.
구리(풍시 上 1촌) 『장』p.40 p105 - 참 좋다
but, 혈액순환 장애는 어떨까? 내관 간사 자침이 더 좋다.
(침 놓는 반대쪽 70%, 환측 30% 정도는 듣더라.)
예5] 38세 女 L1~5 양쪽 아픔. 左 방광경 쪽 다리 뻐근 아픔. 복와 앙와 못함.
右 3, 4지 손가락 약간 아픔. 명치아픔.
→ 土 > 木 土實 . 방광경의 至陰을 (-)해 버림. 96보사. 20분 유침.
예6] 김동식 샘 친구분
① 소퇴 외측 발등에서부터 올라오면서 지리~함.
술을 엄청 먹고 몸은 호리함. 당뇨 15년 이상
② 좌 발바닥 쑤시고 통증
③ 엄지 발가락 지리하고 감각 이상
④ 발바닥~방광경상 쭉 땡긴다.
→ 치료과정
① 담경 左關 < 右關 - 액문(+) : 지리한 것이 악화되어, 대퇴까지 올라와 죽겠다고 함. 바로 액문(-) 하니까 침 놓기 전으로 돌아감.
다시 살펴봐서, 발등부터니까 위경! 右關 위주로 하고, 人 < 寸 胃虛 - 삼리(+)
: 싹 날아감! 마른 사람인데도 괜찮더라.
② 발바닥 통증- 노궁(-) 꿈쩍 안함. 관충도 변화 x.
목마르다 - 통신 명황 : 괜찮더라.
③ 엄지발가락 남음. 심장 약 左寸 < 右寸 - 右 대돈(+) : 아랫배가 편안해 짐.
④ 左 > 右尺 - 대측 관충(-) : 바로 끝남. 그런데 발바닥은 끄떡도 안함. - 골관 목관
예7] 左 족근~승산까지 저리고, 발바닥 족근부 빼고 다 저리다. (신장으로 봤다) 건전지에 혀 를 대면 찌리 하듯이 저리다. 당뇨 15년. 원래 5지 감각이 없었는데 이제는 엄지만 조금 아프다.
→ 左尺과 右關(당뇨병이 있으니까)만 봤다. 土 > 水 眞五行(-). - 태백(-) 96보사 12번. 오른쪽 현맥 沈(술 많이 먹고 양약 多服하므로)
: 90% 좋아짐. 엄지는 안 날라감. 비경 쪽은 날라감. 0-ring test 해보니 딱 맞더라.
다시 간실 담허. - 태충(-) : 5지부터 시작해서 1지까지 다 시원해짐.

6) 하지의 시림

예1] 얼굴이 검고 마른 남자, 갑자기 양쪽 하지 전체가 서혜부에서 발끝까지 저리고 시리다. (시린 것이 더 심함)
→ 왼쪽 오호 4‘5 : 저린 것은 거의 100%, 찬 것은 70-80%
며칠 후 다리는 다 나았는데 견관절 아래로 저리고 차다 길래 → 왼쪽 신관 천황
예2] 엉덩이~ 방광경 따라서 족근까지 시리다. 2년
→ 소부 곤륜 (+) 음곡 통곡 (-) (火+水-)

7) 하지무력 (1) 소아마비 → 견중 운백 상백 + 견중 이백 하백 交刺 『자락』p 96
견중 목지 통천 / 견중 운백 상곡/ 견중 이백 하곡
: 어떤 종류의 하지무력에도 다리에 힘 생기게 함!!!
(2) 老人雙脚無力★ 다리에 힘이 없다. →목지
(3) 상백 治 퇴무력 + 목지→ 중풍 환자의 다리를 번쩍 들게 한다 (힘이 나서)
(4) 後血海→ (혈해後 1前半) 하지 마비로 꼬이는 경우 1~3寸 『장육민』p38 p78
(5) 대퇴 힘이 없어 못 든다 → 서혜(p14) 前風市 『장』p 106

예1] 견중 목지 통천 → 다리 힘 없어 지팡이 집고 들어온 환자 걸어 나가더라~
예2] 다리에 힘이 없어 철근 보족기를 착용하고 있다→ 소골침!
예3] 계단 내려오기는 하는데 오르기 힘들다. 내려올 때 다리가 후들후들 떨린다. 배꼽에서 발바닥까지 힘이 없다. → 兩양지 관원 부류 곤륜 삼리 미니 뜸 1장씩 15일(토, 일요일 은 쉬고) : 다리 힘 생기고 좋다. 노인 다리도 20대 다리같이 된다.
김동식샘 曰] 兩足顫掉不能移步(양쪽 다리가 떨려서 발걸음을 옮기지 못함)
→ 태충 곤륜 양릉천 (+) 영수보사 5일까지는 표가 안나고 10번 놓으니까 좋더라.
(癲 : 미치다 전) (掉 : 흔들 도)
예 4] 김동식샘 부인. 다리에 힘이 없다. → 목지 : 침 놓은 쪽(환측)으로 먼저 좋아짐.
예 5] 67세 女. 손자가 아파서 입원. 쪼그려 잠을 잔 후 1~5발가락에서 소퇴~위경상으로
저림. 다리(무릎)가 힘이 없어 잘 넘어짐.
→ 우관(右關) > 좌관(左關), 人>寸. 위허.---- 위정격. 영수 보사하여 원보 방사.
3번 놓으니까 80~90% 좋아짐.
8) 보행 장애
(1) 각통불능이지(脚痛不能履地 : 다리가 아파서 땅을 발로 딛지 못함) (履 : 밟다 이)
→ ★★ 대측 구리 : 즉시 낫는다 『장』p105
(2) 하지편탄마비(중풍)
→ 사해(四海)(p37), 신복토{(新伏兎)(p37), 상풍시(上風市)(p37),
전풍시(前風市)(p37), 『장』p105
예 1] 소퇴 경결로 보행 장애 → 차백으로 끄덕도 안 함 → 환측 견중 운백 이백
예 2] 어릴 때 다리를 다쳐 약간 보행 장애가 있는 환자, 눈 때문에 안 미끄러지려고
조심조심 애쓰며 걸었더니 고개 숙이면 왼쪽 슬와가 땡기고 책상다리를 하면 더
심해진다.
→ 오른쪽 상백 : 별로 효과가 없길래
→ 환측 상백을 20분 유침 했더니 다 괜찮아짐

2. 하퇴(下腿 : 종아리)
1) 슬관절(무릎뼈) 질환
(1)슬개통(무릎 종지뼈 통증)
① 슬통에 견중 내관 (견중 1혈로도 특효) : 효과가 안 나타난다면 퇴행성이다
② 무릎 아플 때 → 건측 내관 + 환측 태충(兪穴)
; 양 쪽이 다 아프다면 兩 내관 태충, 이 때 상대측 내관 태충끼리 염전, 동기
③ 무릎 아픈 데 → 건측 내관 + 환측 태백 함곡 ( 내관 함곡 견인 )
④ 무릎 아픈 데 → 화슬(소택 후 1分) / 소부(+), (-)
⑤ 슬통 [양유걸 p166]
ⅰ) 건중 (견중) ★
ⅱ) 삼금(三金)방혈 : 구년(久年: 오래 된) 슬통에 특효 !
ⅲ) 중간(中間)
ⅳ) 담혈 : 담경상 통증
ⅴ) 심문(心門) : 슬내측통
⑥ 슬개통 → 중자 중선 / 폐정격 : 무릎이 시큰시큰 할 때도 대측 폐정격~!
⑦ 슬개통 → 통천 1혈 염전, 동기
⑧ 슬개통 요통 → 복원 소골
⑨ 슬개통 → 견중 건중 대간 심문
⑩ 무릎에 소리 날 때 → 소절(小節)
⑪ 산기(山氣) 로 아플 때 → 중간, 대간, 소간..(또는 대돈) + 견중, 건중
: 환측 배꼽 옆으로 꼭 누르면 악~ 소리를 할 정도로 아픈데 유침 중 복부압통
정도를 확인하면서 동기시킬 것!
⑫ 슬종통
ⅰ) 분중 상삼황 환측 슬안 측삼리 (장 p106)
ⅱ) 슬영 견중 건중 ★ : 부었을 때 加 심슬 or 화슬
ⅲ) 통신 통위 하삼황
→ 대측 견중 슬영 만으로도 무릎 붓고 열나고 아플 때 응용! 특히 퉁퉁한 사람일
경우에 좋다
⑬ 심장이 안 좋다면 → 견중, 건중 / 또는 화슬
⑭ 슬안 부위 통증 → 삼금(三金) 방혈 (슬안 : 무릎 종지뼈 밑 좌우의 오목한 곳)
⑮ 무릎 뒤로 땡기고 아플 때 → 중자 중선
16)무릎에 힘이 없고 슬괵부가 시큰거림 → 심슬★ (슬무력 또는 변형성 슬관절염)
17)학슬풍 역절풍 : 신허(腎虛) → 대돈(-) 경거(+) (색후상한(色後傷寒))
18)슬개냉통 → 통천 통관 / 견중 / 단측 통천 통위

예 1] 갑자기 무릅에 물이 차고 후끈거리면서 굴신을 못하며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들고
아프다. 병원에서 두 차례 물을 뺌.
→ 견중 건중 화슬 슬영 : 그 자리서 굴신 가능, 부기 감소
→ 다음날 부기 소실, 슬 내측통증이 남아 있어 재침했더니 괜찮아지더라~
예 2] 25세 남자, 오른쪽 슬관절 동통으로 절룩거린다. 슬관절 전체가 많이 부어 있다.
→ 견중 건중 슬영 화슬
예 3] 40세 여자, 슬통, 보행 할 때는 괜찮은데 앉았다 일어날 때 아프다
→ 화슬
예 4] 35세 남자, 슬통, 병원에서는 뼈가 상했다며 수술을 권함. 6년 전부터 발기가
안 되고 조루, 아랫배가 꾹꾹 쑤시며 아프고, 태양혈 통증, 명치끝도 아프고,
신트림을 하고, 장출혈도 있고 무릎에 힘도 없고, 양반다리도 못 한다. 무릎 속이
차기도 하고 열이 나기도~
→ 활맥(체기가 있다) 우선 다리 청근에 피가 쭉쭉 흘러내리도록 방혈 했더니★
시원하다면서 증상이 거의 소실
+ 견중 중간 대간 + 양 대돈(발기부전, 산기에도 씀) : 뱃속 콕콕 찌르며 아픈 것도
소실. 양반다리도 할 수 있게 됨
예 5] 左 무릎 시큰 거리고 굴신 불리
→ 대측 견중 건중 50% 정도 낫다고 함 [견중 건중은 청혈작용(淸血作用) 혈관 콜레스 테롤 제거 작용]
다음날 온 전신이 잠을 못 잘 정도로 가려웠던 증상도 있었는데 그 증상이 날라갔다 고 고백. 재발도 없다
예 6] 木>土, 右 슬와부 동통. 땡긴다 부어 있다 굴신이 힘들다
→ 左 대돈(-) 하니까 날라감. 20분 유침하니까 다시 아프더라. 다시 자침한 후
좋아져서 바로 발침. 재발도 없다
예 7] 경골두 부위가 아파서 절면서 들어옴. 살짝 만져도 엄청 아프다.
→ 부황 3~4회 30~40% 봉침으로 70~80%
다시 다쳐서, 각배통으로 보고 오호3 (각배통) 자침
예 8] 82세 할머니. 1개월 전 병원 입원 후부터 1년간 팔을 펴기는 펴는데 잘 못 들어
올린다. 무릎을 90˚ 상태에서 앞으로 못 편다. 학슬풍처럼 무릎 뼈만 볼록하다.
→ 소부(-) : 안 들음. 슬곽부건이 굉장히 굳어 있더라
→ 영골 척택 : 침 찌른 쪽에 다리를 앞으로 펼 수 있더라.
예 9] 슬통 슬관절통 → 소부(+)
* 슬부(膝部)는 비위(脾胃)에 속한다. 혈액순환 안 되니까 밤새도록...체온이 떨어지더라. 그래서 소부(+)는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닐까 다리 무릎 아픈 것이나 퇴행성도...
→ 비경 소부(+)
예10] 건설현장 노동자 대퇴 땡기고 아플 때 + 차삼~!
예11] 수십 년 간 무릎이 아파 엉거주춤한 자세 앉기도 서기도 힘들다. 10년 넘게 불면증.
손가락 손바닥 저림 → 소부(-)로 다 날아감
예12] 무릎 못 굽히고 회전 잘 안되고 발을 질질 끈다 → 소절 : 약간 괜찮다
구취가 심함. 속 많이 타는 사람의 입 냄새(화근내). 양쪽 구맥이 다 성(盛).
남편이 바람 핀다
→ 대측 소부 화슬 직자 : 무릎은 90%까지 굽힘. 회전은 잘 안됨
무릎외측 상하 5치 부분이 아프다
→ 대측 담혈 1분 후 하나도 안 아프다
예13] 무릎 만성병 노인 기력이 약함
→ 녹용침 後 곡지(관절을 좋게 하는(利關節) 효과, 취상)
예14] 계단 내려가거나 올라갈 때 무릎 앞 쪽 아프다
→ 은백 문금 족삼리 / 비위 내경침

(2) 슬내측통
① 내측으로 아플 때 → 심문
② 내슬안통 → 음소해
③ 슬개 내측통, 슬뉴상(膝扭傷), 안구통(眼球痛) → 內화슬★
슬내측통 슬고통 → 화경 화주
슬내측통 → 화경 / 슬내측통 + 서혜부 동통 → 화경 화주 ★
④ 슬내측통 + 흉민 상기 심장열 → 상양 瀉 (담정격의 의미) / 소부 瀉
⑤ 슬관절 측부 인대손상 → 건측 견응☆ + 환측 내과첨 (내측 손상)
외과점 (외측 손상)

예 1] 슬내측통, 운동하다가 삐끗한 후 시큰거린다, 술을 자주 먹는다
→ 화경(50% 호전) + 환측 영골 대백 + 건측 사지 삼음교★ : 사지뉴상(四肢扭傷)
: 화슬 / 폐정격도 좋다~!
예 2] 36세 여자 무릎 아프고 (특히 내외슬안으로) 슬괵이 땡기고 걸으면 우리하다.
하루 종일 서서 가게 보는 사람
→ 견중ㆍ내관 : 자침 즉시 땡기는 게 없어짐
: 발침 후 완전히 구부리니깐 슬괵 땡김 → 위중 방혈
예 3] 넘어져서 부딪혔는데 오른쪽 무릎 내측으로 통증 → 대측 심문 (슬내측통★)
예 4] 슬내측통, 입 잘 안 벌어지는데 → 화경(행간 上 1寸 : 火字 - 심장과 관련)
예 5] 무릎 아프고 서혜부통 심장성 두통 (남좌여우) → 화주(火字-심장과 관련)
예 6] 55세 여 뚱뚱 예민 얼굴 붉고 열감. 서혜부~발가락 끝까지 아픔. 슬내측 뼈가 아파서
아침에 일어나서 첫발 디디는데 너무 아파서 운다. 감각 없다. 병원에서는 원인 불명
주사 기브스 → 심열(心熱)로 추적 - 소부(-) 영수보사 : 바로 통증의 20~30% 호전
유침 20분 후 다 날아감
예 7] 할머니 전신이 아프다. 무릎 내측이 특히 아프다 굴신 어렵다
→ 양쪽 심문 3명 치료 中 1명은 다음날 50% 후퇴

 

(3) 슬외측통
① 슬외측통 → 화릉 화산 중구리 하구리 + 곤륜透태계 (透 : 투과할 투)
② 슬개 외측으로 아플 때 → 견중 내관
③ 슬외측 인대 손상 → 건측 견응☆ + 환측 외과침
④ 위중 외측 통증 → 관충 / 위중 내측 통증 → 內관충
⑤ 위중외 근간 → 영골 + 척택
예 1] 슬개 외측으로 다쳤을 때. 퉁퉁하지도 붓지도 않았는데
→ 슬영 견중 건중으로 90% 개선 + 환측 척택으로 100%!
예 2] 슬 외측으로 한 뼘 정도 근긴, 10년, 양릉천 부위가 잉크처럼 시커멓다
→ 방혈 + 담혈 심문 중간
예 3] 슬 외측으로 땡기고 불편하다 → 화릉 화산 중구리 하구리
예 4] 위중 外 근긴, 1년, 무릎을 굽히지 못함 → 건측 척택(80% 개선) +중절
예 5] 슬개를 빼었다. 슬개 외측통 → 담혈 7~8회로 완치

 

(4) 슬개염좌
① 슬개뉴상 →內화슬☆
② 무릎(외측)뉴상 → 담혈 화슬內外 관충
③ 무릎 관절 삐었을 때 → 위중방혈 / 오후4 / 소절
예 1] 항아리 들다가 무릎을 다쳐서 붓고 아프고 굴신을 못 한다. 열감이 있고 슬내측이
심하고 밤에 더 아프다. 소리도 난다
→ 견중 건중 슬영 + 이배 방혈
예 2] 10세 남자, 농구하다 무릎으로 떨어졌는데 앉았다 일어서질 못함 굴신 時 연발음.
→ 화슬, 슬영
예 3] 풀쩍 뛰어 내리다가 삐끗해서 무릎 앞쪽으로 아프다 구맥(鉤脈) → 대돈 補
(심정격의 의미 / 간정격의 의미 / 子를 補하면 母도 補해지므로 신정격의 의미
/ 비승격의 의미 : 무릎 내측은 간비신경(肝脾腎經)이 모두 지나는 부위임)
예 4] 무릎 삐었는데 위중 부위 땡긴다. 굴신 불능
→ 대측 척택 작탁염전 후 굴신은 다 됨.
예 5] 오금이 아프다. 계단을 못 오름
→ 방광경에 속(屬), 좌척(左尺)>右尺, 방광실, 土(+) 木(+)
→ 수태양 소장경의 소해(+) 후계(-) : 바로~

 

(5) 슬관절 굴신불리
① 기송 → 무릎을 구부리는데 마지막에 안 꺾일 때 ! (간정격도 좋다)
② 무릎 어디든 땡길 때 → 기송 중자 중선 중백 하백
③ 무릎을 굽히다가 갑자기 꺾이면서 못 펼 때 → 간정격
④ 무릎을 펴질 못한다 → 양소해 부위 압통. 양성이길래 자침하니깐 좍~ 펴짐
예] 무릎 굴신 못할 때도 건측 옥화 !!!
: 유침 중 환측 옥화에 자침했더니 다시 굴신이 안되고, 환측 침을 제거하니깐 또 괜찮 아지더라. 그러므로 함부로 원산폭격하지 말 것!

(6) 슬관절에서 발까지 아플 때
예 1] 슬개골 상연부터 양구 부위의 고질적인 멍 → 옥화!!! (어혈 : 그 자리에서 50% 소실)
예 2] 35세 여자, 兩 슬(膝)이하~발 끝까지 가려워서 못 견딘다. 5년 일 할 때는 괜찮고,
누우면 다시 가렵다고 함.
→ 右 견중 상곡 하곡 운백 이백 : 시원~하다더니 낫더라~!
(하지무력 소아마비)
예 3] 성장통 경골두 누르면 아프다
→ 영골 대백 족해 : 4번으로

 

2) 소퇴통(종아리 통증)
(1) 운백 + 견중 → 소퇴무력(小腿無力) 및 장통(脹痛)
(2) 소퇴창통 → 상곡(담경)★ / 차백(방광경) / 견중 / 정지(精枝)방혈/ 목화12
(3) 종아리 통증, 붓고 못 걷는데 → 차백★ / 척택 사
(4) 퇴창통 → 담혈 침하입유(鋮下立愈: 침을 꽂으면 즉시 나음)
파산(爬山) 퇴산통(등산 후 다리 아플 때)도 담혈 可治 (爬 : 긁을 파)
(5) 木華 1 2 → 소퇴창통★ (대측으로 1,2 혈 中 한 혈)
(6) 소퇴통 → 비습한(뚱뚱하고 습이 많은) 사람 ---- 삼리(+) / 마른 자 - 삼리(-)
(7) 비골통 → 곡릉
(8) 하지 외측으로 칼로 베듯이 아프다 → 견중 + 중구리
(9) 족삼리 부근으로 덜덜 떤다. → 대측 명황 천황 신관
(10) 종골~정사까지 눌러도 아프고, 걸어도 아프다 (아킬레스건 통증)
→ 환측 위중 방형 + 오호5 (p165)
(11) 아킬레스 건통 → 목혈

예 1] 정근~정사 부위가 가만히 있어도 아프고 눌러도 아파서, 다리를 들고 다닐 정도
→ 위중 방혈 + 오호5
예 2] 일주일 전 등산 후 양 장딴지가 손도 못 댈 정도로 딱딱하다.→ 족삼리 補
예 3] 등산 후 많이 걸어서 정근~위중 부위가 땡겨서 절룩거린다 → 영골 대백
예 4] 33세 남자, 오른 쪽 종아리가 터질 듯 아파서 걷질 못 한다고 함,
발목을 위로 땡겨올리거나,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모두 땡기듯 아파서 손도 못 댈 정도~
→ 건측 영골 대백 척택 (약간 수기(手技)를 함) : 50% 좋아짐
+ 완순12 (각장불능만곡(脚掌不能彎曲)) : 80% 좋아졌는데 다음 날 보니깐 다 나았더라
예 5] 정사~승부 아래까지 땡긴다 → 영골 척택
예 6] 60세 남자, 족삼리~조구 부위가 아파서 20분만 걸어도 갑작스런 통증에 주저 앉을
정도, 4개월, 右 고관절 부위가 뻐근하게 아프다. 부정맥
→ 대릉 내관 간사
예 7] 35세 여자, 兩 요통, 정종까지 저리고 땡기고 아프다, 화병...
→ 대릉 내관 간사
예 8] 절단된 다리 부위가 저리고 아프다
→ 대측 사지 삼음교~!

 

3) 소퇴(종아리)의 시림
(1) 다리가 차다면 우선 광명을 사하라★ + 경락에 따라 화(+) 수(-)
광명 → 실할 경우 다리가 냉하여 찬 기운이 올라오면 →瀉
허할 경우 앉은뱅이처럼 일어나지 못한다. → 補
(2) 다리 찬 것 → 광명 瀉 / 삼중 육완
(3) 다리가 너무 시려서 잠을 못잘 정도 → 쌍봉 방혈 + 통천 통위☆
(4) 무릎 이하가 얼음처럼 찬 것(脚足冰冷) → 신정격 / 용천 연곡 사, 환도 보
(5) 한궐방(寒厥方) : 음곡(+) 태백(-) [김광호샘] (厥 : 대궐 궐)

예 1] 다리 아래가 차서 칼로 베듯이 아픈 환자
→ 신정격을 썼으나 3일이 지나도 무효. 광명을 사했더니 2~3분 만에 뜨뜻~
예 2] 무릎 아래부터 발끝까지 차다, 트럭기사, 급성
→ 건측 화슬, 폐심 : 90% 개선
→ 건측 삼중, 목화(하지냉)
예 3] 55세, 2년 전부터 슬하~발목까지 시려서 여름에도 솜이불을 덮어야 할 정도
→ 광명 瀉 + 통천 통위

 

3. 足趾
1) 족관절 질환
(1) 족관절통
① 족 외과통 및 과(踝) 관절염★ → 운백 + 상백 (踝 : 복숭아 뼈)
② 해계~상구 부위가 아프다 → 오호4
③ 족관절에서부터 발가락까지 모두 아플 때 → 대측 신관 ㆍ부류★
④ 발목관절의 통증 운동불리 → 공손(-)★

예 1] 남자 이발사, 양 발목이 뺑 돌아가며 아프고 오래 서 있으면 시큰거리며 붓기를 3년
→ 왼쪽 오호45 중백 하백, 30분 유침, 염전
예 2] 젊고 뚱뚱한 사람이 오른쪽 발목으로 뺑~돌아가면 아파서 지팡이 짚고 들어옴
→ 오호4 5 중백 하백☆ (경험 p24)
예 3] 족관절 돌아가면서 아프다. 평소 술 多. 현재 간암 진단. 통풍 진단은 들쑥날쑥.
진통제도 효과 거의 없다. 한 달에 2-3번 정도 2-3시간 통증
→ 대측 골관 목관, 10초 정도 염전 하니까 시원해짐
예 4] 6개월 전 족 염좌(삔 것), 내과 下 조해 부위가 찌릿찌릿하다 → 오호 중백
예 5] 무용하는 사람, 춤 출 때마다 곤륜 아래로 뼈가 아프다 → 통골
예 6] 무용수, 해계 부위가 아파서 까치발을 할 수 없다 → 오호 복원 중간 + 소부
예 7] 81세 남자, 심장성 천식, 간경화, 오른쪽 발목 이하 부종ㆍ열감ㆍ통증으로 신발을
못 신을 정도 → 兩 통관 통산 통신 통배 명황 하삼황
예 8] 발목을 위로 아래로 굽히는 것이 다 안됨 → 대측 공손(-) : 즉시 배굴 可 (조금)
예 9] 자전거 타다가 뒤를 돌아보다가 넘어짐. 병원 진단은 T12 척추 경색증. 감각은
있는데 변의를 못 느낌. 6개월간 경산대병원 치료. 다리는 드는데 흔들린다.
左족관절 배굴 불능. 발가락 수축 소변 느낌은 있는데, 대변을 보는 것은 못 느낌.
걸을 때 양쪽 방광경상 땡김
→ 공손(-) 오호 복원 : 2번 치료 후 족관절 배굴 可 2cm. 4회 치료 후 4cm 가능
대측 관충(-) : 2회 치료 후 방광경 땡기는 것이 줄어들고 다리가 흔들리지 않음
위중 방혈 차(叉)123 목화 : 찌를 때 시원 (叉 : 깍지낄 차)
* 목화를 찌르려고 하면 먼저 놓고 나서 다른 혈을 놓아야 한다.
예 10] 15년 전 넘어져 머리 다침. 발목 잘 못 움직임. 그 부위 색깔 시커멓다. 다리를
질질 끌면서 걷는다. → 공손 염전 동기침법 : 바로 괜찮다. 색깔도 없어짐.
cf. 중풍에서 발목관절 잘 안될 때도 - 공손. 뼈의 개념 있으면 - 오호 복원
(2) 족관절 염좌(발목 삔 것)
① 발목 삔 데(구허 부위) → 건측 소절에서 중선을 향해 10~15˚ 들고 자입★
(혹은 대릉을 향해) : 10분마다 염전, 30분 유침(만성의 경우 45분 정도)
if.부었으면 환측 위중 방혈하고, 건측 족해혈 取
② 대측 영골 수천★ : 99.9%, 환측 수천만 해도 OK
③ 오호4 + 소절
상백 (낙침혈)
: 외측 (구허 부위)으로 삔 데 用
④ 외과통 → 중백
⑤ 내과를 삐었을 때 → 엄지손가락의 과점(踝點)과 상대되는 관절의 홈에 자침!
⑥ 소부 : 전신통
⑦ 족관절 굴신 불리 → 위정격 / 공손(-)
⑧ 발목 염좌에 때로는 소절 보다 영골~!
⑨ 발목 삔 것 → 상백 중백 소절 소부(-) / 위중 점자방혈 / 오호4

예 1] 엄지발가락을 삐어서 왔는데, 수십 년 간 머리 아픈 병력을 갖고 있었다. 코가
크면서 태음인형으로 생겼더라~→ 영골 1혈로 모두 해결!!!
예 2] 발목 염좌, 구허~ 곤륜까지 뺑 돌아가며 아프고 부었다, 1주일.
→ 위중 방혈 + 대측 옥화
예 3] 3개월 전 내외과 모두 염좌 → 대측 옥화 영골 수천
예 4] 3-4일 전 계단을 오르내리다가 아킬레스건 쪽으로 삐어서 절면서 들어온다.
살짝만 건드려도 아프고 열감이 있다. 좌>우
→ 대측 담혈 : 한 포인트로만 열감이 있다길래
→ 이배 방혈 후 다시 동기 : 90% 열감 소실...
예 5] 발목 삠, 협계, 구허 부위가 아픔, 오래되어 디스크 생김
→ 木을 중심으로 보고 비교 맥진법 사용

 

(3) 발등이 아플 때
① 발등이 아플 때 → 위정격 / 오호34 /복원 / 사화외
예 1] 물건이 떨어져서 234趾 로 통증 → 대측 복원
예 2] 신발을 꽉 조이게 신어서 충양 부위 통증
→ 오호에 압통 반응이 없길래 대측 복원~!
예 3] 오토바이가 발등을 위로 지나갔다, 뭔가 발등을 찍혔을 때 → 복원
예 4] 女 오른쪽 임읍. 엄지손가락 크기만 하게 살이 올라옴. 말랑말랑 아프다.
1일 ① 외삼관 30분 유침 수기× - 환자 느낌은 好
2일 ② 외삼관 삼중. 환측 . 주위 방혈 ~ 검은 피 약간 - 반으로 줄더라.
4일째 확 줄어서 ②를 반복 - 다음 날 콩알만 해짐
5일째. 외삼관 삼중 자침

 

2) 족근부 질환
(1) 족근통
① 족근통(수족상대요법)
I) 대측 대릉 (취상을 응용한 것)
ii) 대측 소상 방혈( 정근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, 피가 더 이상 안 나올 만큼)
iii) 대측 중관(대릉 상 5分) 골관 (중관에서 무지측 5分), 목관 (중관에서 소지측 5分)
: 요산 해독혈이다. 골관ㆍ목관 2혈만 응용하기도 . 수지침으로 자침하면 된다.
② 족근통 →골관 목관 ★ / 위중 방혈 / 대릉 / 오호5 / 소상방혈 / 하승근(下承筋) 위중 외측 2寸 방혈 / 정회, 상인당, 목뒤의 양측 방혈
if. 뼈가 자라거나 하면 → 오호 복원 소골
③ 족근통, 4개월 → 火全★ [p104]
④ 발바닥이 아프면( 혹은 저리면) → 노궁 瀉
⑤ 발바닥이 아픈 사람도 복원~!
⑥ 신정격 → 신경 유주 부위 따라 발바닥부터 아플 때

예 1] 63세, 누워서 발뒤꿈치가 닿기만 해도 아프다.
→ 오른쪽 오호5를 찌르니 왼쪽 치료, 왼쪽 오호5를 찌르니 오른쪽 치료~!
예 2] 39세 여자. 이사 후 오른쪽 족근통으로 끊어질 듯 아프다. → 소부 瀉
예 3] 공사장에서 못을 밟아 발에 찔렸다 → 분지 상하 자침
예 4] 족근통, 뒷꿈치까지는 안 올라오고 발바닥만 아프다. → 통곡 補
예 5] 폴짝폴짝 뒤면 발바닥이 아프다 → 중간 + 女膝 (발 뒤꿈치 적백 육제)
예 6] 발뒤꿈치 종골 내외측이 아프다. → 通骨 ★
예 7] 엄지발가락 바닥부분 저리다 고통스럽다 → 노궁 (-) : 그대로 날아갔다
예 8] 양쪽 용천에서 발 앞쪽 끝까지 찌릿하고 아프다. 걷지 못함. 8년 됨. → 三士
: 1시간 후 땀을 뚝뚝 흘린 후 거의 치료.
오호23 건측에 놓으니까 조금 남은 것도 모두 다 치료.
김동식샘 曰] 노궁(-) 해도 되는데...
예 9] 뛰고 하면 발바닥 아플 때 → 중간 + 女膝
예10] 발레리나. 종골 부위, 복삼과 수천 부위 아픔 → 통골 : 자침하니까 나음

(2) 발바닥의 寒熱
① 발 또는 발바닥이 열 날 때 → 하삼황 / 腎經의 水(+) 火(-)
② 발 또는 발바닥이 너무 찰 때 → 腎經의 火(+) 水(-) (: 교재 원본이 오타임)
예 1] 45세 여자, 식당주인 발바닥에 열이 나서 잠을 설칠 정도.
→ 하삼황 + 腎經 水補火瀉+ 外 화슬 瀉
예 2] 열이 나서 항상 이불 밖으로 발을 내놓고 자야 할 때 → 하삼황
예 3] 간경화 환자 손발바닥 뜨겁다 → 兩 문금(내상으로 보고)
예 4] 발이 너무 뜨거워 이불 밖으로 내 놓고 잔다. → 하삼황 / 腎經 火(-)水(+)

 

(3) 발바닥이 건조할 때
① 발뒤꿈치 갈라진 데 → ★제오(制汚)
② 발뒤축이 갈라진 데 → 비정격(발뒤꿈치를 비위로 보기도 한다.)
③ 발바닥 건조한 사람, 발바닥 땀이 안 날 때
→ 우선 삼중 먼저 자침, 다음에 육완으로 촉촉해짐
예 1] 엄지 발가락이 다 갈라진 당뇨환자 → 제오 : 다음날 아침 붙어 있더라~
예 2] 20년 간 발뒤꿈치가 갈라져서 피가 나고 손도 다 갈라졌다 → 제오 방혈 + 자침
예 3] 족심이 단단하게 굳어있을 때
→ 완순1(후계보다 조금 뒤로) 하나로 흐물흐물~
예 4] 발뒤꿈치 갈라진 데 → 비승격 or 비위 내경침

 

3) 족지(足趾)
(1) 족지 전체
① 다섯 발가락 모두 배굴이 안 될 때→ 少白 (배굴 : 위로 들어 올림)
② 공손 부위 통증 → 어제
③ 양 발가락 찬 기운 → ☆ 학정 오호3
④ 지마(趾麻) → 하삼황 / 학정
⑤ 각지통(脚趾痛: 발가락 통증) → 오호3

예 1] 53세 여자, 왼쪽 발가락 전부 힘이 없고 발가락을 내려놓을 수가 없어(척굴불능,
배굴은 可) 발뒤꿈치로 걷다가 많이 넘어졌다 함.
→ 소백 : 25분 유침 5분 염전, 첫날 조금 낫고 둘째 날부터 발가락을 짚을 수 있게 됨.
예 2] 족에서 목혈에 대응하는 점
→ 시원~해지면서 무좀이 3~4회만에 낫더라(발톱무좀에는 별로~)
예 3] 봉와직염으로 군화도 못 신을 정도 → 분지 上下(독소로 보고..)
계란 노른자 2개 + 밀가루 1홉을 반죽하여 환부에 붙이면 좋다.
예 4] 발가락 타박 후 감각 없는데 → 비익 소골
예 5] 태충 부위 발가락 감각이 없다
→ 습담(濕痰) :★ 척택 음릉천(+) 태백 태연(-) - 잘 듣는다. 비승격도 좋다.

 

(2) 1趾(엄지발가락)
① 엄지발가락 본절 부위의 통증 → 오호 5
② 엄지발가락 통증 → 환주 방혈/ 목화 4혈 / 수요 정수 ☆(엄지 굴신불리)
③ 엄지발가락 굴신불리 →수요 정수★
④ 1-2 趾 間이 아프다
→ 중백 하백 차삼/ 외백 하백 완순1 / 내백 중백 완순1 / 환부 천골 일대 방혈
⑤ 엄지발가락 밑이 통풍처럼 붓고 발적 → 오호 4 5
⑥ 兩 엄지발가락 통증, 2-5趾는 감각 둔마
→ 오호 3 4 (엄지 발가락 통증 소실)+ 하삼황 ★(趾麻)


⑦ 통풍
I) 하삼황 / 오호3 + 족삼리 (당귀점통산)
ii) 하삼황 1혈 / 골간 목간/ 태백[김광호 선생]
iii) 천황 통신(大趾生瘤 : 엄지발가락에 혹이 생김)
iv) 통증이 극렬할 때 - 삼양락에 듬을 5장 뜨면 낫다.
예 1] 1,2,3째 발가락이 아프고 배굴이 안 되고, 억지로 배굴시키면 소리를 지를 정도로 아픔 → 건측 오호 4★ : 즉치~!!!
예 2] 1-2 趾 사이로 저리고 아프다. → 학정 + 중백 하백
→ 새끼발가락 쪽으로 옮기길래 + 차삼
예 3] 왼쪽 엄지 발가락이 힘이 없고 배굴이 안되면서 처진다. 통증은 없다. 디스크 병력
→ 대측 오호34 + 사지 + 5th 목화 + 수요(水腰) 正水 가운데 1혈
: 바로 배굴 가능~!!!
(3) 2 3 4 5 趾
① 3 4 5 발가락 저릴 때 → 속골~!
예] 2 3趾 발가락을 10년 전에 다쳤는데 지금도 아프고 하이힐을 신으면 더 아프다
→ 오호3 피내침 하나로 끝남~!


치료 III 잡병(雜病)


1> 풍(風)
1. 중풍
1) 중풍 『자락』p.76
(1) 백회 팔관
(2) 삼중 육완
(3) 공손 내관 해계(-) → 중풍 악권무력 : 수족에 힘이 생김. 『장』p.128
(4) 반신불수에 ★ 健 영골 대백 + 健 풍시 신관 + 오령 방혈 (심할 경우)
2) 중풍치료 시 345指 목화. 반신불수에 특효 / + 팔관 추가하면 효과가 倍加
첫날 4개 목화 10분 유침 후 영골 대백(補肺腎) + 풍시 / 혹 + 신관 (先健後患)
심하면 + 오령혈 방혈
둘째날 목화 8분 유침 후 자침
셋째날 목화 5-6분 유침 후 자침
넷째날 이후 목화 5분 유침 후 자침...
3) 반신불수 → 견중 상곡


4) 반신불수 『장』p.128
(1) 健 견중 + 兩 사마
(2) 健 중자 중선 : 유침 수십분
(3) 목화 사봉 팔관혈 多用 [김광호샘]
(4) 삼중 육완 기본
5) 중풍 환자 설강불어 → 삼중 목류 / 견중 상구 / 백회 상구
+ 금진옥액 or 風池 부위 방혈
6) 중풍 환자 침 흘릴 때 → 止涎 ★ / 지창 승장 (김남수 선생) (涎 : 침 연)


7) 중풍 상지 운동 불리
(1) 거상불리
① 영골 대백 신관 풍시 - 참 좋다. 중풍 환자 아플 때도 좋다.
② 팔 외측으로 아프다 → 삼중
③ 외관透내관 곤륜透태계 절골透삼음교 : 팔 빠진 것도 붙더라.
④ 굉중
⑤ 열결
(2) 상지 마비 → 絡上( 『장』p.25 화릉) / 肩三針
(3) 상지 편탄 → ★ 굉중 臑上 ( 『장』p.27) (臑 :팔꿈치 팔뚝 팔마디 노)
(4) 완하수 → 굉중 / 三透 / 新肩三針
(5) 중풍 手拘攣 → 중자 중선 加 환측 척택 (拘 : 꺼리끼다 구애받다 구) 攣(경련 련 )
8) 중풍 하지 운동 불리
(1) 중풍환자 갈퀴발 → 목화
(2) 화연 화국 화산
(3) 족관절 운동 불리 → 공손(-)


9) 手脚不寧活(팔다리가 불편함)
(1) 목화 사봉 [손 펴고 오므리지 못 할 때] 중자 중선 팔관 백회
(2) 화연 화국 화산
(3) 다리에 힘이 없을 때 → 상백 / 목지 / 견중 운백 상곡
(4) 발목이 안 돌아가면 → 공손
10) 정신 오락가락하면 → 삼중
11) 중풍에 신이(神耳) 상중하를 配하면 효과 증진! (귀 앞면으로 찔러도 효과가 있더라.)
삼중 배혈 時 다리에 힘이 生
12) 중구리 + 삼차혈 → 중풍후유증
+ 팔관 → 반신불수
13) 중풍후유증 +정회 상삼황 통천 영골
(중풍후유증으로 手臂不能動彈 五指不能伸屈者에 좋다 (彈 : 탄알 탄)
14) 중풍 오래되면 → 영골 대백
15) 주원 주곤 → 사지무력 중풍후유증
주원 주륜 주곤 → 사지 위약증 특효. 加 정회 전회 후회 - 중풍 반신불수에 특효
16) 진정 정회 신관 상삼황 → 중풍 要穴. 삼중도 잘 활용할 것.
수침요법 p301 膝靈 : 滑絡散瘀 消炎止痛 → 신장성 풍습병 슬개통 관절염 脚趾신경통
17) 중풍 예방 → 견정 곡지에 100~300장 뜸 / 삼리 절골 3장 뜸

예1] 4-5년 전 좌측 중풍(뇌출혈), 이틀 전 뇌색전으로 오른쪽으로 다시 중풍 온 환자,
언어불능, 가래가 끓고 전혀 거동 못함, 소변도 못 봄,
병원에서는 손 쓸 방법이 없다고 돌려보냄.
→ 오른쪽 목화 4개 방혈 + 八關
+ 왼쪽 영골 대백 수금 후계 신맥 해표 목부.
→ 다음날 언어 90% 돌아옴, 가래 소실, 재침.
→ 다음날 스스로 일어 설 정도!!!
예2] 중풍으로 오른쪽 혈관 막힘, 언어는 가능, 상하지 무력, 보행 장애.
→ 목화 팔관 측삼리 측하삼리 삼중
예3] 75세 남자, 몇 년 전 중풍 병력으로 치료, 갑자기 어지럽다면서 쓰러짐, MRI 촬영 후
왼쪽 쇄골~견봉 부위가 부어올라 팔이 저리고 아프다, 병원에선 아무 이상 없다고 함.
→ 족천금ㆍ족오금 (뼈 위로 자침), 육완, 삼중 습부황, 이배에서 청근 방혈
→ 다음날 50% 개선
→ 두 번 더 시술 후 100%좋아짐 .
예4] 뇌종양 환자가 사과 따다가 쓰러져 중풍이 왔는데 운신도 못하고 대소변도 못 가리 더라~
→ 神耳 上中下만으로 4-5회 시술 후 놀러 갈 정도가 되었다...
예5] 남 50세, 4개월 뇌경색, 좌반신불수, 팔다리 힘이 없어 들었다 놓으면 툭 떨어질 정도.
손가락 굽히지 못하고 반 악권 상태에서 악력이 없다.
말이 어눌하고 탁하며 발음이 부정확하다.
→ 健 차123 +중자 중선 : 약간 자연스럽게 됨
+ 삼중 목류 육완 (삼중 육완 治 중풍 / 삼중 목류 治 언어곤란 舌强)
: 자침 후 발음시켜 보았더니 상당히 좋아짐.
+ 백회 목지 (하지무력) + 열결 (수완무력★)
: 총 3회 시술 후 언어 99%, 악권 하지무력 70-80%, counting 50% 이상 좋아짐.
예6] 여73세, 3개월 전 뇌출혈, 오른쪽 편마비,
퇴원한 지 한 달, 어깨부터 손까지 다 아프고 다리는 무릎 이하 발가락까지 아프다.
→ 健 영골 대백 신관 풍시 (풍시 염전)
: 1회로 아프지 않다고 함.
예7] 여 63세, 2개월 전 뇌출혈, 오른쪽 편마비, 악력부족, counting불능, 하지무력, 다리를
질질 끌며 절룩거림.
→ 목화 (청근 방혈) + 健 팔관 + 삼중 육완
: 한번으로 하지운동 악력 손가락 움직이는 것 모두 개선. 다음 래원 時 보니깐 양쪽이 거의 비슷할 정도로 좋아졌더라~
예8] 63세 남자, 3년 전 뇌출혈, Wernickeman's position, 유방 정도까지는 올릴 수 있다.
→ 대측 굉중 척택
: 20분 염전, 10분쯤 지나니깐 목까지 올라감. 10분 더 있으니깐 누운 상태에서 팔을 뻗을 수 있게 되더라~
예9] 70세 3년 전 뇌경색, Wernickeman's position, 어깨까지는 거상.
주먹은 쥘 수 있는데, ⅔쯤 굽은 상태에서 펴질 못한다.
→ 대측 굉중 척택 5분 염전 + 영골
: 손도 펴지고 다리도 많이 편하다고 했는데 세 번째 치료 후 back. 결국 전침 사용
예10] 70세 여자, 5년 전 뇌출혈, 오른쪽 편마비, 밥을 정상적으로 먹는 게 소원 이라고 함.
→ 견중 부위가 많이 굳어 있어서 먼저 습부황
+ 척택 굉중 + 견중 (아시혈) : 정상적으로 밥을 먹게 됨.
예11] 40대, 오른쪽 중풍, 4년,
누워서는 팔을 내릴 수 있으나 올리려하면 쭉 못 뻗고 중간에 굽어짐.
→ 굉중 노상 (上肢癱瘓★) : 눈에 띌 정도로 부드럽게 거상~!
cf . 굉중 견삼침 : 상지마비
예15] 남55세, 뇌경색, 왼쪽 편마비, 오십견처럼 팔의 ROM이 굉장히 좁아 (앞 옆 뒤 모두)
대측 무릎에 손이 안 닿는다, 저녁엔 아파서 잠을 못 잘 정도
→ 三透 (외관透내관 절골透삼음교 곤륜透태계)
: 차차 좋아지더니 3회 만에 손이 대측 무릎에 닿게 됨.
예16] 오른쪽 중풍, 4년, 태음인, 뚱뚱한 체격, 맥을 보니 濕多, 상하지가 늘어져 다리를
질질 끌며 들어오더라, 오른손을 들려면 왼손으로 받쳐야 할 정도 ...
→ 환측 목화에 청근이 많길래 방혈하고 + 대장정 (영수 / 9 × 6 : 濕)
+ 대측 영골 대백 팔관34 : 그 자리서 만세할 정도로 좍~올라감!!!
예17] 45세 여자, 뇌츨혈 3개월, 왼쪽 편마비, 手臂 하지 전체로 힘이 없고 (상지는 왼쪽,
하지는 양쪽), 부축 해야만 흐느적거리며 걸음. 건망증과 右 슬통이 모두 심하다.
→ 백회 목지 상백(하지무력) + 열결 수곡 + 견중 내관 動氣 + 건망증에 삼중
예18] 중풍이 세 번째 재발하여 온 몸이 축 늘어져 있는 환자
→ 영골 대백 + 중자 중선 + 상중하구리
예19] 62세 남자, 右 중풍, 1주일, 手足 늘어짐, 언어불능,
의식도 없고 정신도 오락가락~, 대소변도 못 가림.
→ 신이(神耳) 上中下 + 영골 : 매침하고 일주일마다 재침하는데 갈수록 호전~!
예20] 여 중풍 (뇌경색 우측) 심근경색 당뇨 인슐린 20 unit 맞음. 혈압 120/180.
현재 감기 든 상태. 의식불명. 청색증 입술과 손 새파랗다. 汗出
→ 대측 神耳 上中下 자침 후(하사자) 의식회복 + 영골 (대백) [눈이 보인다]
예21] 중풍 상지굴곡
→ 굉중 15분 염전. 다시 돌아옴 / 다시 30분 정도 씨뤄서? 다시 펴진 후 재발 안됨.
예22] 중풍환자 심하비 → 심정격 / 심문 토수 [광]
예23] 50세 남 교통사고 3개월간 혼수. 뇌수술 후 오른쪽 편마비
→ 언어마비 : 금진옥액 (한 쪽을 솜으로 싸서 들고 3번씩 방혈)
상지굴곡증상 : 肪中 9번 염전 - 바로 펴짐. 2번 자침 후 많이 좋아졌다.
그런데, 손이 많이 부었더라 : 태백 자침하니까 바로 정상으로 됨. (肪 : 비계 방)
예24] 중풍 10년 약간 남은 상태에서 3년 전 다시 재발. 발목배굴× 발가락도 안됨.
슬리퍼도 못 신음
→ 공손(+) 소퇴무력 → 풍시 염전
예25] 우뇌출혈 좌측 팔 늘어짐 다리 뻣뻣하게 걷는다. 발가락 오그라짐.
액와~담경 쪽 하지까지 땡긴다.
→ 右목화 1.2.3.4 [(소지 방향) 10분 자침] - 발가락 편해짐
다 뽑고 백회 진정 팔관 사봉 삼중 [脇下痛 있다] 담경 쪽 땡기는 것 없어짐
: 다음 날까지는 재발 없음. (脇 :옆구리 협)
예26] 右 뇌경색, 좌측 손을 전혀 펴지도 오그리지도 못함.
→ 右 사봉 4번 : 악권은 되고 펴는 것은 좀 덜함.
예27] 중풍 1년(뇌출혈) 영대 병원 마비 풀어주는 주사 2~3번. 3번째는 효과×
→ 건측 척택 (우리 몸의 근의 이상에 用)을 염전 작탁 30초.
팔의 운동이 부드러워지더라. (펴는 것. 거상) cf. 오십견은 환측
예28] 10년 전 하퇴 절단 (대퇴下), 左중풍 2개월 입원, 성뇌개규
→ 환측 곡천 위중 삼음교 2주일 후 사봉 팔관 합곡 차삼 굉중 척택 (-) [참 좋더라].
주 3회 : 걸어 다님
예29] 男 65세 중풍 코에 줄을 꼽음 연하장애 언어불능 요플레 1숟가락을 못 먹음.
위장 출혈 대단히 심함. 내시경상 위출혈 (코의 줄이 자극을 준 것 같다)
→ 양쪽 육완 1시간 자침 저녁에 대변보는데 출혈량 많이 줄더라.
다시 더 놓고 지유 삼칠근 加 평위산 : 다음날 완전 지혈. 죽 먹고 말문이 터지더라.
☯ 김동식 선생님 曰] 육완은 외상출혈 主. 전신출혈에 쓰기도 한다. 변혈에도 좋네...
예] 지주막하출혈에도 썼는데 듣더라.
원래 변혈은 승산 부류 태충 쓰면 되는데...
예30] 중풍환자. 언어불리
→ 삼중방혈 2번 언어가 분명해지더라. 2일에 한번 씩 방혈. 2~3번에 해결
예31] 뇌경색. 머리에 뭐가 끼어있는 느낌. 바빈스키(+) → 삼중 방혈!
예32] 중풍 2개월. 색깔이 퍼져 보인다 → 일단 삼중
土實. 위실로 보고 - 여태(-) : 색깔이 안 퍼져 보인다고 함.
cf. 세상이 새까맣게 보인다 → 신정격 ~ 색깔에 해당하는 정격을 쓰면 된다.
“ 노랗게 ” → 비정격
예33] 66세 女. 우측 중풍 13년 전. 보행가능 상지무력 숟가락 못 듬. 舌에 자색이 심하다.
→ 土實. 人 < 寸 脾實. - 폐경의 경거 (-). 96보사 : 더 힘이 빠진다고 함.
다시 (+)를 해보니까 힘이 나서 난리! 영수보사로 해도 (-)에서는 힘 빠지고, 경거(+) 하니까 힘 생김
김동식샘 曰 ] 실한 경의 眞五行穴을 瀉해 보면 좋을 것이다. -- 태백(-)
예34] 48세. 뇌색전 左 중풍 2개월. 걸으면 左눈이 깜깜해지면서 안 보인다. 혈압 정상
→ 중풍처방 + 비익 옥화
예35] 중풍환자 발가락 오그라짐 → 목화 : 1번에 됨.
예36] 중풍 맞은 쪽 어깨가 너무 아프다. 팔 90도 정도 굽히기만 함.
손목은 안쪽으로 돌아가기는 함
→ 영골 대백 측(하)삼리 : 팔을 머리위로 올리고 뒷짐도 진다...
한계 이상 가면 아픈 정도
예37] 중풍환자 2개월. 팔 고꾸라진 채 움직이질 못한다.
→ 대측 굉중 (염전 총 10분) : 팔이 머리 위까지 죽~올라가더니 어느 정도 펴짐
예38] 중풍 팔을 90도 이상 못 듬
→ 목관 : 팔을 확 들더라
예39] 35세 중풍 불어
→ 대측 영골 대백 상구 견중 : 30분 유침 계속 염전, 2번으로 거의 정상이 됨

 

2. 편고(偏枯)

1) 진단 - 兩 ①볼 ②어복 ③장딴지를 만져보아 두께가 얇은 쪽~
→ 견우 곡지 태연 족삼리 절골 곤륜 신맥 ★ (양측 취혈, 직자)
예] 화장실에 가면 쭈그려 앉지도 못할 정도였는데 3회 맞고 휠체어에서 일어나 침대까지
가고, 5회 맞고 손에 땀이 나더니, 10회 만에 건강한 쪽보다 살이 더 올랐더라~

 

2> 한(寒)

1. 감기예방, 초기
1) 감기가 오려고 할 때 → 부격 3 : 감기 예방 효과★
2) 감기 초기에 → ★액문
3) 감기로 목이 쇠~ 할 때 액문 어제 좌우 교차 취혈 → 治 喉痛 (喉 : 목구멍 후)
(이때 폐정격도 좋다)
4) 감기 초기, 항배강 발열 이륜부가 새빨갛다.
→ 이배 방혈로 모두 끝남.
5) 감기 걸려 목 안 좋다 → 소상 상양 방혈
예] 에어컨 틀었는데 곰팡이 냄새가 나면서 갑자기 천돌혈 부위가 뭉친감.
불쾌감. 기침 나면서 가래 생긴 듯한 느낌. 침을 삼킬 때도 그런 느낌.
갑자기 식은땀이 나면서 감기 초기 증상. 오른쪽으로 일을 한다.
→ 左 수천해 자침 : 즉시 기침 멈추면서 끝

 

2. 감기(=감모 感冒)
1) 감기 → 지구 어제 瀉★
감기 → 영골 대백 부격三 (重감모★) / 중자 중선 부격三
2) 감기두통 → 列缺 : 요골에서 척골 방향으로 횡자. 대측으로 치료 됨.
3) 감기고열 → ★영골 대백 오호 복원 : 찌르자마자 열이 팍~ 내려간다.(해열)
4) 감기몸살★ → 사지 삼음교 (사지 : 감기로 온 몸이 다 아플 때~!
감기몸살 → 대추 고황 (陶道 魄戶) + 三士
몸살감기로 열나고 기침 나고 ㆍㆍ→ 대추 兩傍 방혈 + 三士
5) 감모 → 삼차1 + 영골 대백 / 심한 경우 소상 상양 방혈 후 配 곡지
6) 액문ㆍ어제 → 감기로 기침을 많이 해서 목 아플 때, 좌우 교차로 하나씩.
7) 감기로 입맛이 뚝 떨어졌다면 → 문금이나 개비혈을 보태주면 된다.
8) ★ 영골 대백 + 수금 수통 + 천해점(喘咳點)
→ 治 1분 간격으로 에헴 에헴 ~ 기침하는 환자
★ 영골 대백 + 喘咳點 / 수금 수통 + 喘咳點 → 목이 간질간질하면서 계속 기침을 할 때
: 15년 된 만성 기침 한 방에 치료! 몹시 심한 어린이 夜嗽. 자고 일어나니까 끝~

예1] 감기 때문에 아파서 도저히 더 이상 근무 못 하겠다면서 집에 간다는 간호사에게 일 단 兩 영골 대백 부격3에 자침하고 계속 누워있어 보라고 하면서 10분마다 염전 ...
조금씩 증세가 나아지더니 한 시간쯤 지나니깐 말짱해져서 퇴근시간까지 근무 다 하고 감... (이때 重魁혈을 더해도 좋다) (魁 :으뜸 괴)
예2] 40세 여. 겨울에 으스스 한기 두통 뼈마디 쑤시고 코 막히고 열
→ 영골 대백 오호 (오호1 or 3 or 다) 복원 (가운데 한 혈 or 다)
: 남좌여우 1초 즉시!
편두통 심 → + 차삼, 콧물 → + 목혈
오호 복원 (이완 작용) → 손 건조하면 땀나게 한다.
예3] 女 겨울 빼고 덥다 → 오호 복원 자침 하면 시원해진다.
복원 (되돌리는 작용) → 근육이완 고막재생 쥐날 때
예4] 감기 후 팔을 잘 못 든다. → 부격 3혈 한 번에 좋다.
예5] 몸살 감기 인후통 → 담정격 좋더라.
예6] 감기 몸살 사지가 아프다 → 한쪽 영골 대백 부격 3혈 + 사지혈 즉시!!
해열침 놓아도 되고
예7] 이틀 동안 추운데서 자고 감기 몸살 상지 쪽이 더 아프고 열나고 쑤신다.
기침소리 킁킁 목 간지럽고 후두, 어깨 쪽 많이 아프고 한쪽 팔이 몹시 아프다.
심하가 막힌 듯하고 답답, 심호흡하면 심하부 아픔
→ 좌측 사지 - 뒤와 어깨부터 확 풀림 / 좌측 영골 - 심하부 답답 / 대백 오호
1,3,5 - 후두통 80% 날라감 / 복원 / 후두점 / (목 아픈 것 없어짐) 수천해 (기침) 쾌
적한 감이 약간 부족. 목혈 (콧물) 바로 없어짐 ⇒ 자고 일어나니까 땀多
☯ 큰 시험 치러 가는 애들 감기약 먹으면 멍하고 힘들 수 있으니까 침을 활용하라

 

3. 감기 후유증
1) ★ 감모후 四肢가 저리고 아프다 → 사지 삼음교 혹 + 통관 통산 (사지1혈로도 OK)

 

3> 화(火)

1. 해열
1) 해열 → 연곡 지구 중저 瀉 음곡 補 / 양곡 瀉 / 영골 대백 오호 (+ 복원)
2) 오심번열 → 소부 瀉
예] 전신열 오한 뼈마디 아픔. 병원에 링겔 2일 맞아도 열 안 내림.
→ 영골 대백 오호 복원 5분 후 싹 없어짐. 재발 ×

 

4> 허로(虛勞)

1. 피로(피로)
1) ★ 좍~ 깔아지고 피곤하면서 힘이 없을 때
(1) 補鍼 (녹용침) 태백 태연 (+) 지구 연곡 (-) - 힘이 없는데 힘이 나더라!
(2) 神耳 상중하
2) 차삼은 피로 회복 / 비익 피로 예방(남좌여우) → 피로회복, 捉神醒腦, 대퇴통
3) 腎으로 인해 피곤 → 수금 수통
肝으로 인해 피곤 → 상삼황
속 불편하면서 피곤 → 차삼 + 통위
4) 정신피로 → 興奮(『장』p.6) / 대추 / 차삼 / 비익 / 노궁
예1] 피곤해서 건드리지도 못하게 하고 누워있다.
→ 양쪽 神耳 상중하 찌르니까 바로 일어나 앉더라.
예2] 피로 → 비익 (남좌 여우) + 神耳 上中下

2. 과로로 인한 동통
1) ★ 내관 간사 龍捉脈 : 몸이 안 좋으면서 맥이 안 나타날 때!!
2) 과로로 인한 동통 (온 몸이 찌뿌둥~하고 아플 때)
(1) ★ 비익 : 기허
(2) ★ 옥화 : 혈허, 어혈 (어디 다쳐서 왔을 경우 무조건 옥화~ !!!)
(3) 비익ㆍ옥화 : 담 결리는 데, 좌골신경통, 머리를 맑게 한다.
3) 피로과도
(1) 八關 (곡지 삼리 합곡 태충)
(2) 대추 수삼리★

5> 구토(嘔吐)

1. 구토
1) 구토
(1) 공손 내관 해계(-) : 한 혈만 써도 된다.
(2) 수금 수통 : 술 먹고 토할 때
(3) 족삼리(+)
(4) 통배★
(5) 총추
(6) 三陽噎膈方 (噎 :목메다 근심하다. 근심으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다 일)
(膈 : 횡경막 격)
2) 구토 딸꾹질 요통에 → 수금ㆍ수통★!
3) 트림 딸꾹질에 → 화성~!
4) 양치질하면 구역질 → 상삼황 / 양쪽 상삼황 3~4회 하면 된다.
5) 신경성 구토, 임신구토 → 통관 통산/ 통천

예1] 속이 느글느글 거리면서 토할 것 같은데 올리려 하면 안 나오고 앞머리가 띵하게 아 프면서 어질어질할 때 → ★해계(-), ★간정격 (5분이면 효과 나타 남)
예2]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가 물만 먹어도 토하고 할 때도
→ 공손 내관 해계 瀉 / 해계 瀉
예3] 위암 말기 환자 양쪽 통배 자침하니 잘 듣더라.
간암 말기 환자 구토에도 즉시 효과!
예4] 딸꾹질. 잘 때도 심. 식사 중에는 안 하나 식후 30분에 딸꾹질. 단, 딸꾹질 나기 3일 전에 인후통으로 고생한 적 있다. 전중~구미혈 답답 → 문금 삼중 측삼리 측하삼리
족천금 족오금 : 딸꾹질 1시간 정도 멈춤 - 담배 핀 후 재발 → 측(하)삼리 족천금
족오금 : 박하처럼 뚫리는 느낌
예5] 척추 디스크 검사 중 약물을 넣었는데 그 후 계속 토한다 → 분지 상하 방혈
예6] 애기 움직이면 토한다 → 총추 / 총추보다 공손 내관 해계(-)가 좋다.
cf. 구토에 통배혈도 참 좋다. 암환자 구토에도 좋다.


6> 해수(咳嗽)

1. 해수
1) 정해 + 열골 대백 → 治 해수
기침이 너무 심해 침을 놓을 수 없는 환자가 있어 먼저 정해혈에 유침하여 진정시켜놓고
침을 놨다.
2) 해천 - 발작시 : 수금 척택 三士
평상시 : 하삼황
3) 朝刺 榮(어제) / 午刺 兪(태연) / 夕刺 合(척택) / 夜刺 井(소상)
4) 수천해 어제 방혈 (喘 :천) (咳 : 해)
5) 기침 → ★ 수금 수통[피내침만 해도 좋다] 영골 대백 수천해
6) 熱痰咳★★ - 참 잘 듣더라 [김광호샘] 『사암침구정전』p.134
습이 心에 있는 것. 가슴이 아프고 목에서 꽥꽥 소리가 나고 심하면 咽腫痛
→ 천돌(斜) 대돈 소충(+) 신문 태계(-) if. 담을 치료하려면 신문을 태백으로 바꾸어라.
cf. 여름 기침- 냉방병으로 인함
7) 만성 기관지염, 노인 야간 冷咳嗽 → 후추 수영 육영(수영上2寸) : 調補肺腎之氣 (嗽 :수)
8) 寒喘 寒嗽 - 오한증 有 → 신정격
9) ★ 喘咳穴 『장』p.84 / 咳哮穴 『장』p.131 (哮 : 으르렁거리다. 큰 소리내다 효)
10) 목이 간질간질하면서 계속 기침을 할 때 → ★ 영골 대백 + 喘咳點 / ★ 수금 수통+
喘咳點
목이 쐐 ~ 하면서 기침 → 폐정격 / 어제 액문
11) 급성 해수 → 수금 (수통) best~!!!
12) 반신불수 해수 → 곡릉 + 수금

예1] 건기침 2~3달. 2~3번하면 치료된다. 치료 예가 많다. 밤에 더 심한 기침 『장육민』 p.15 定喘 (대추 兩傍 5分) 바깥쪽을 보고 斜刺.
+ 수금 수통 수천해 하면 한방에 날라가지 않겠나. 오한증이 있으면 冷喘
예2] 감기 기침 가래 多 → 定喘 (대추 양방 5分) 진짜 좋더라
효천 발작 극렬 時 風門에 溫灸 30분하면 立則정지.
격일로 1~2개월 하면 완전히 나음
예3] 女 교감 선생님 스트레스 多. 울 때 숨이 가쁘듯이 숨을 몰아쉰다. → 수금 수통
예4] 15년 된 만성 기침 한방에 치료! 몹시 심한 어린이 夜嗽... 자고 일어나니깐 그쳐 있 더라 ~ → 영골 대백 + 喘咳點
예5] 심한 기침 → 수금 수통 수천해 한 번에 낫더라.

 

2. 천식(喘息)
1) 목염 + 정천 → 천식 치료!
(4지 2절 B선상 3혈)
2) 兩 어제만으로 천식 치료
3) 삼사 + 영골 ★ → 哮喘
4)『경험』p.148
腎喘 → 수금 수통/ 肺喘 → 사마/ 心喘 → 三士
5) 호흡곤란, 숨차고 할 때 → 척택 근처 청근 방혈 : 能 平喘
(심장마비 예방 치료 → + 사화中)

예1] 8개월 된 아기가 온몸이 자흑색으로 변하면서 하루 8번 가래를 빼내더라 ~
→ 중자 중선 2-3회 시술 후 하루 2번 : 7회 시술 후 완치
예2] 10년 이상 천식으로 고생, 감기로 그렁그렁~ 고양이 호흡소리
→ 수금 (向 관골) 태연 (오전에 자침) 수천해 40분 유침
: 목에 소리나는 것 소실~
+ 족천금 족오금 : 가래 호흡 모두 정상 !
예3] 노인. 숨쉴 때 소리가 쌕쌕 난다 → 수금 수통 족천금 족오금
예4] 69세 남 천식. 종합병원 5년 치료. 산소호흡 보조 필여 → 폐정격 + 천해: 침 8번
후 좋아짐. 금수육군전 1제
예5] 천식 호흡 급박 → 관충 중충


7> 적취(積聚)

1. 종류(腫瘤)
1) 腫瘤 → 견봉 + 외삼관 삼중 交刺 (瘤 : 혹 류)
2) 外科腫瘤 → 제오 + 외삼관 + 지류

2. 비괴(痞塊)
1) 痞塊 → 내관 + 조해 / 목두 목류 (痞 : 암메추라기 비)
2) 腹中痞塊 → 삼중 + 사화중 외삼관 / 목두 목류 / 삼중
3) 脂肪瘤 → 명황


8> 부종(浮腫)

1. 전신부종
1) 통신 통위 하삼황★ → 일체 부종~!!!
2) 마금수 하삼황 → 水腫
예1] 소변불리 (1/1일), 전신부종, 하복부 積ㆍ痛 → 통신 통위 하삼황
예2] 교통사고 후 하지 부종 → 통신 통위 하삼황

 

2. 국소부종
1) 사지부종
(1) 사지부종 → 통신 통위 하삼황 ★ / 하삼황 중백 수곡
(2) 통관 통산 통천 → 심장이 안 좋은 사람의 사지부종
cf. 통신 통위 → 전신부종 하지부종 (+하삼황) 검면부종


2) 하지부종
(1) 하지 부종 → ★수곡 중백
(2) 통신 통위 → 전신부종 하지부종 (+하삼황) 검면부종


9> 기타 전신의 질환

1. 전신의 통증
1) 전신유주자통 → 절골 삼음교 (-) / 담정격 담승격 응용 (지절통).
2)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복잡한 동통에 무조건 풍시★~! (뼈에 닿도록 깊이)
3) 좌골신경통, 디스크 등으로 통증은 잡았는데 계속 저릴 경우
→ 五虎★ : 우선 건측의 압통점을 찾아 제일 아픈 한 점에 수지침으로~!
5~6분 정도 염전해 보고 그래도 안 되면
환측의 최고 압통점을 찾아 자입(1~2分)
4) 온 몸이 다 저릴 때 → 건측 오호 중 제일 아픈 한 점을 찾아 염전 ~, 잘 안 될 경우
환측의 최고 압통점을 찾아 염전~
온 전신의 서주감 → 폐정격 / 소장정격
5) 화릉 화산★ → 전신 어디든 국소적으로 땡기는 데 모두 응용~!!!
6) 전신 어디든 삔 데 (四肢扭傷) → 사지 삼음교 + 영골 대백 『경험』p.199
7) 전신통에도 수해~! ( 임읍 / 중구리)
8) 견중 + 건중 통관 통천 신관 ★ → 전신 관절염 / 요산성 관절염 / 유주성 풍습병


9) 지통(止痛)
(1) 신속 最佳之止痛 → 사지 삼음교 + 영골 대백 : 폐암 비암에 필수
(2) 진통☆ (임읍 / 수해 / 풍시) 및 진정 요혈~! - 중구리
(3) 상구리 중구리 하구리 → 중요한 지통혈~!!!
~ 원인불명의 동통, 복잡한 동통, 유주성 동통
(4) 통증에 합곡 삼리와 대측 대릉 써봐라
통증이 있으면서 억제가 안될 때 우선 합곡과 족삼리에 강자극을 주고, 再對 대릉用 中 等刺激 患者 會卽刻 呵欠想睡 不一刻 (15分) 孰(누구 숙)會孰睡 如此赤可使 神經 鎭靜下 來 減輕疼痛的苦楚
10) 흉, 임맥선상 통증 → 태계
독맥선상 통증 → 위중 방혈, 곤륜
11) 전신마목 → 목류 수곡 + 화주 if. 힘없을 때 → 목지
12) 영골 대백 중자 중선 완순12 → 상체 쪽 통증 잘 잡는다.

예1] 확실히 담경상 따라 아프다
→ 협계(+) 양보(-) 스프링 침으로 각각 3번, 2번씩 자극만 줘도 되더라.
예2] 다발성 경화증. kist 박사 44세 건드리기만 하면 파동이 쫙 퍼지는 것처럼 온 전신이
아프다. 손발가락 심하다. 열감 有. 귀두가 아프다. 발기불능. 성생활×
→ 소부(-) 사지 삼음교 (good) + 통관 통산 견중 건중 (별로×) + 하삼황 대돈 ★
☯ 하삼황 대돈 자침 1회로 성생활 가능.
1,2번에 다 된다. 주 1회 4번 자침. 시호계지탕 10첩. 현재 80~90%호전
예3] 계절 바뀔 때 사지 붓고 아픔 → 비익 옥화 : 시원하다고 함.

2. 요동병(흔드는 병, 떠는 병)
★ 모든 떠는 병 (肝腎의 문제) 당뇨가 있어도 무방~
잘 때 다리 떠는 사람도 해당 됨.
1) 상삼황2穴 하삼황1穴 / 상삼황1穴 하삼황2穴
2) 한쪽 상삼황2穴 (주로 명황 천황) + 하삼황1穴 (주로 신관)
→ ★ 보통 명황 천황 신관 多用
3) 상삼황 + 하삼황 / 配 곡지 하면 better / + 풍시도 好
4) 사관 (疏肝解?? 定痙) + 신관 (滋水涵木) / 사관 풍시 (痙 : 경련 경)
5) 지정 외관 광명 백회 + 사관 : 즉시 힘이 나고 떨리지 않더라.
처방 → 이진탕 加천마
6) 요동병 → 진정 백회
7)『경험』p.136
p.178 四肢發抖 (파킨슨) (抖 : 떨다 흔들다 두)
(1) 신관 부류 명황 (≒ 하삼황2 상삼황1)
(2) 명황 기황 신관 (상삼황2 하삼황1)
(3) 정회 전회 목지
8) 파킨슨병 → 정회 전회 목지 + 麻醉 (p60 耳垂1ㆍ4區) + 명황 통신 (하삼황의 의미)
『장』p.128
9) 파킨슨 메니에르 → 상삼황 (平肝息風) + 신관 부류
파킨슨 → 양보 행간 곤륜 瀉 / 간정격
파킨슨씨 진전 → 행간 화경 곤륜 瀉
무도병 → 지정 외관 광명 백회 + 사관☆
10) 메니에르 → 백회 상삼황 + 신관 부류 (혹은 육완) : 양측 취혈. 유침 2시간.
1번으로 됨.
기립성 두훈, 갑자기 어지러워서 못 견딜 때도
메니에르 → 상삼황 + 신관 부류 / 신관 육완
메니에르, 이롱, 현훈 → 육완 + 삼중 / 삼천 

메모 :